d라이브러리
"중심"(으)로 총 5,910건 검색되었습니다.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과학동아 l1993년 02호
- 준비 중이다. 이름하여 큰 강입자 가속기(LHC)이다.LHC는 양성자와 양성자를 충돌시켜 질량중심계 에너지를 16TeV까지 얻을 수 있는 원형가속기이다. 기존의 둘레 27㎞의 전자 양전자 가속기인 LEP의 지하 터널을 이용할 계획이므로 SSC보다는 빠른 시간 내에 완공될 가능성이 크다. 이 LHC 역시 유럽의 많은 ... ...
- 앵무새·구관조의 비밀과학동아 l1993년 02호
- 가르칠 수 있는 종이고 또 50여종이 언어수업이 가능한 종이다. 대개 앵무새는 적도권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살고 있다. 남미산의 금강앵무류와 모자앵무류가 유력한 종이고 아프리카의 회색앵무류도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종류다.또 하나의 말하는 새로 구관조를 꼽을 수 있다. 이 새는 ... ...
- 컴퓨터그래픽으로 우주공간 본다과학동아 l1993년 02호
- 마이로백스2 컴퓨터에 그래픽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붙인 이 시스템에는 지구를 중심으로 6백52광년 안에 있는 항성의 위치, 명칭, 밝기, 스펙트럼, 고유운동의 벡터값 등이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돼 있다. 또 행성 위성 소행성 혜성 성운 등에 관한 자료도 입력돼 있다.가령 플라네타리움 내에서 ...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과학동아 l1993년 02호
- 이 속에 들어가 벽에 등을 대고 선다. 잠시 후 로터의 정가운데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빠르게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이 벽에 더 밀착되고 있음을 느낀다. 잠시 후 밑바닥이 떨어져 나가지만 사람들은 공중에 붕 뜬 채 벽에 매달린 상태가 된다.사람들이 ... ...
- 벼의 기원은 양자강 유역과학동아 l1993년 01호
- 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인도의 아삼과 중국의 운남설이 관심을 끌었다.일본인 연구팀이 중심이 되어 히말라야 주변의 아삼지역과 운남지역의 벼를 조사한 결과 이곳에는 일본형 뿐만 아니라 인도형까지 포함한 유전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벼가 있었기 때문이다.20년 가까이 중국 운남, 인도 아삼설이 ... ...
- 21세기를 체험하며 배운다과학동아 l1993년 01호
- 15분 동안 천지창조에서부터 우주여행이 일상화 되는 21세기까지를 '통신의 변천사'를 중심으로 보여준다."최초로 인간의 목소리가 들린다. 그 소리는 전혀 알아들을 수 없다. 그러나 얼마나 소중한 소리인가. 서로를 부르고 명령하는 소리, 즉 통신의 기초인 말(언어)이 탄생하는 순간이다. 그 말로 ...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과학동아 l1993년 01호
- 기울어진 십자가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 팔들에는 별들의 커다란 쌍이 있고 중심에 밝은 별들이 있는 훌륭한 이웃"이라고 이 성단을 표현하고 있다 ... ...
- 나에게 꼭 맞는 칫솔 치약 따로 있다과학동아 l1993년 01호
- 자신의 구강상태에 알맞는지 잘 선택하기가 어렵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들을 중심으로 독자들에게 권장할만한 구강위생용품과 그 근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손잡이는 직선형이어야먼저 칫솔의 경우 손잡이가 직선형이거나 앞쪽으로 약간 구부러진 형태가 권장된다. 또 칫솔모단의 모양이 ... ...
- 1. 역사과학동아 l1993년 01호
- 우주정거장이나 우주선 속에서 중력이 없는, 즉 무중력상태가 형성되는 이유는 지구중심에서 우주정거장이나 우주선을 잡아당기는 힘과 우주정거장이나 우주선이 지구 밖으로 뛰쳐나가려 하는 힘이 서로 같아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우주로 나가면 무조건 무중력상태가 되는 것은 아니다. ...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과학동아 l1993년 01호
- 또는 '슈미트 보정판'이라고 한다(보통은 간단히 '보정판'이라고 함). 보정판은 중심부가 볼록렌즈, 주변부가 오목렌즈로 상당히 복잡한 형태를 하고 있다(맨눈으로는 구별이 안된다).평면형태의 보정판을 사용하지 않고 초생달처럼 오목과 볼록형태의 보정판을 사용한 막스토브식 ... ...
이전4734744754764774784794804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