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있어 제대로 연구를 하기 어려웠다.1994년 이화여대에 부임한 뒤에도 10여 평 남짓한
작은
연구실에서 남 단장은 석사 과정 학생들과 밤낮을 가리지 않고 실험하고 토론했다. 노력은 곧 결실로 나타났다. 연구단은 이화여대 최초로 ‘미국화학회지’(JACS)에 논문을 발표했고 인공효소모방시스템도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편미분 방정식을 푸는 연구에서 세계적인 대가였다. 유한요소법이란 구조물을 아주
작은
단위로 나눈 뒤 이들의 거동을 계산하는 수치 해석 방법이다. 유한요소법에 대해 아무 것도 몰랐지만 그는 무조건 열심히 공부하겠다며 매달렸다. 그의 진심이 통했는지 틴슬리 교수는 그를 제자로 받아줬다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몫을 하는 일꾼이었는데 하루에 마른 논을 25아르나 갈 수 있다고 한다. 아직까지도 시골
작은
논이나 밭에서 소가 쟁기질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지금은 사실상 육우 전용으로 키우기 때문에 성장을 빠르게 하고 육질이 좋게 하는 여러 비법들이 개발되고 있다.촛불시위라는 홍역을 치루고 다시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것인지는 모호했다. 생명체가 처음 생겨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그는 전기 자극으로
작은
생명체가 생겨났다는 당시의 한 연구결과를 인용했는데, 이는 곧 학계의 웃음거리가 됐다. 많은 사람들이 이미 창조론은 과학적 가설이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라마르크의 진화론이나 체임버스의 진화론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호주와 브라질에서 전량 수입한다. 원료를 섞고 있는 거대한 포크레인들이 팔레트 위의
작은
붓처럼 보인다.3. 세계 최대의 조선소, 울산광역시 동구세계 최첨단 선박의 15%를 생산하는 최대 규모의 조선소다. 1973년 창립돼 1985년 건조량 기준 세계 1위가 된 이래 줄곧 선두를 고수하고 있다. 창업자 고 ... ...
아날로그 통신에 푹 빠진 21세기 ‘줄리엣’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아기자기한 재미가 있기 때문이다. 회원들은 교신을 하다가 친해지면 직접 만나
작은
선물을 교환하는 ‘아이볼’(Eye Ball)을 한다. 아이볼은 서로의 눈동자를 확인하며 말한다는 뜻으로 일종의 ‘번개’ 만남인 셈. 교신을 한 뒤에는 교신에 응해줘서 고맙다는 증표로 교신기념(QSL) 카드를 교환한다. ... ...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30미터 망원경은 이름 그대로 구경이 30m인 망원경이다. 30m의 주 반사경은 1.4m짜리
작은
반사경 492개를 연결한 벌집구조로 만든다. 2018~2020년에 가동하기 시작할 계획이다. 거대 마젤란 망원경미국과 호주가 협력해 만들고 있는 망원경으로 우리나라도 참여하고 있다. 2018년에 완성될 예정으로, 8.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자체는 색이 없다. 여기엔 p-페닐렌디아민 같은 염모제 성분이 들어 있는데 크기가
작은
분자여서 모표피 사이를 뚫고 들어가 모피질에 침투할 수 있다. 여기에 과산화수소 같은 산화제를 처리하면 모피질에 들어간 p-페닐렌디아민 분자 사이에 결합이 생겨 고분자가 되면서 색이 나온다. 결국 ... ...
과학으로 만드는 재미있는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그런 바람을 담아 제주와 인천의 어린이 공부방인 우리동네지역아동센터와 기찻길옆
작은
학교에‘어린이과학동아’를 1년간 보내 주기로 했어요.“어린이는 물론 어른들까지‘점박이를 살려 달라’고 난리예요.아무래도‘한반도의 공룡2’를 만들어야겠지요?”감독님의 새로운 작품에서도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감염시킨 셈이다.연구자들은 게놈 크기가 1만 8000 염기쌍이고 유전자가 21개뿐인 이
작은
바이러스를 ‘스푸트니크’라고 명명했는데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박테리아에 감염하는 바이러스를 박테리아파지라고 부르는데 착안한 연구자들은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는 ... ...
이전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