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한 도시 실험실 에든버러 사이언스 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갱신한 것으로 ‘기네스세계기록’에 물위 걷기의 가장 빠른 속도로 등록됐다. 디자인
분야
는 ‘사이언스 섹커’그룹이 차지했다.가장 크고 오래된 세계의 과학축제장치의 모양이 신발로 한정돼 있고 일정 크기 이상을 초과할 수 없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해마다 과학적 연구 결과를 신발에 ... ...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및 수학적 방법과 함께 실험·관찰·통계조사 등이 주제가 된다과학방법론은 논리학의 한
분야
로서 형식적인 추리나 논리계산을 다루는 연역논리학(演繹論理學)과는 반대로 경험을 기술하고 개괄하고 서술하는 귀납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귀납논리학(歸納論理學)을 가리킨다 르네상스기(期)에서 1 ... ...
우주비행사 되는데 자연과학자 유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1년, 박사 학위는 3년 경력으로 대치될 수 있다. 탑재체전문가는 자연과학이나 생명과학
분야
의 전문가이거나 우주왕복선 장착장비에 숙련된 기술자다. 특별 미션을 위한 탑재체전문가는 탑재체 스폰서나 고객에 의해 선발되기 때문에 미국인일 필요가 없다. 물론 NASA에서 요구하는 신체∙건강 ... ...
21세기 과학혁신 이룰 국내 대형 양성자 가속기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소요될 전망이다. 하지만 양성자 가속기가 본격 가동될 경우 활용도가 전과학기술
분야
를 망라하기 때문에 이보다 훨씬 큰 부가가치가 산출될 것으로 추정된다.이를 위해 사업단에서는 양성자 가속기의 개발뿐 아니라 이로부터 얻어지는 양성자 빔을 활용하는데도 역점을 두고 있다. 사업이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교육을 경험한 것이 훗날 그에게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 기회가 없었다면 이
분야
에 대해 학생을 가르치지도 연구논문을 쓰지도 못했을 것이라고 한다.이후 1972년 9월에서야 그는 몇년 간 채집한 톡토기 표본을 갖고 프랑스로 향했다.“프랑스에서 생활은 어땠습니까? 불어에 대한 부담은 ... ...
DNA를 향한 열정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기쁘게 했다고 고백했다. 그리고 그 후에는 앞서의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다시 새로운
분야
를 개척해 나갔다.원래 새를 좋아했던 왓슨은 동물학을 전공했지만, 대학시절 에르빈 슈뢰딩거가 쓴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생물학 연구에 몰두했다. 왓슨과 함께 DNA 이중 나선 구조를 밝힌 공로로 ... ...
레고처럼 조립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소프트웨어 개발뿐 아니라 유지 보수, 그리고 운영에 공학적인 방법을 적용하는
분야
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능력뿐 아니라 분석과 설계, 시험, 유지보수, 프로젝트 관리, 품질의 보증과 관리 등 좀더 세분화되고 체계적인 방법이 동원된다. 또한 여러 사람의 공동 작업이 중요하다. 초고층빌딩을 짓기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조직 속에서 지난 날 어렵던 시절 마치 고질병처럼 우리들 몸에 들러붙어 있던 학문
분야
의 패권주의를 털어 버리고 어떤 생명 현상이든 위계구조를 따라 포괄적으로 이해하려는 수직적 노력이 이뤄진다면 우리는 이미 통합생물학의 길을걷게 되는 것이다. 21세기 세계 생물학의 흐름에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과학적으로 밝혀냈던 것이다. 이는 별을 새로이 발견한 것은 아니었지만 당시 첨단 연구
분야
를 주제로 삼아 이뤄낸 뛰어난 연구성과로 외국 학술잡지에 상세히 발표됐다. 새로운 별의 발견만큼이나 의미있는 과학적 성취를 당시에는 제대로 보도하지 못했던 것이다.과학적 이해와 역사적 안목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발견이 생물학의 파편화를 가져왔다고 주장하는 목소리도 조금씩 나오고 있다. 생물학
분야
를 너무 세분화·정밀화시켜, 같은 주제를 연구하는 과학자 사이에도 대화가 통하지 않는다는 비판의 목소리다. 결국 이런 경향은 생물학을 생명현상의 이해라는 원래 목적에서 점점 멀어지게 만들며 ... ...
이전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