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뉴스
"
다만
"(으)로 총 4,818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 한가운데로 우주가 찾아왔다
과학동아
l
2013.12.03
3일 만에 매진됐습니다. 그만큼 사람들이 별을 보고 싶어하는 욕구가 크다는 거지요.
다만
별을 보려면 멀리 가야 한다는 인식이 큰데, 시골이나 도시나 별을 볼 때의 감동이나 즐거움은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결국 굳이 시간과 비용을 들여서 멀리 가지 않고도 별과 태양계 우주를 쉽게 접할 수 있게 ... ...
아이손 혜성, 보이지 않는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01
경이다. 이럴 경우 2014년초 까지는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말이다.
다만
‘금세기 가장 밝은 혜성’이 될 거라던 예측은 빗나갈 가능성이 높다. 이 혜성은 당초 -10등급(보름달이 -12.5등급)까지 밝게 보일 것으로 생각됐다. 하지만 실제로는 얼음 같은 핵의 구성성분이 부족해 ... ...
[2014학년도 수능성적 발표]까다로워진 정시 지원… A·B형 선택 따른 가산점 꼼꼼히 따져야
동아일보
l
2013.11.27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상위권 대학들의 합격선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인문계열에서는 한국사가 쉽게 출제돼 표준점수가 낮게 나왔다. 따라서 서울대에 지원하기 위해 한국사를 필수로 봤던 최상위권 학생들에게 다소 불리할 것으로 보인다. 자연계에서는 수학의 반영 비율과 ... ...
겨울 되니 눈이 더 침침한가요?
동아일보
l
2013.11.25
반박했다. 노안을 막을 수는 없을까. 현대 의학 수준으로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
다만
노안이 나타나는 시기를 어느 정도 늦추거나 증상을 완화시킬 수는 있다. 예방법을 익혀두는 게 좋다. 첫째, 자외선을 피해야 한다. 눈이 오랫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면 수정체 조직에 변형이 생겨 노안을 유발할 수 ... ...
인류의 오만함을 어찌 모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개발’ ‘녹색 성장’과 같은 용어들도 결국 이런 반성에서 나온 것임을 알고 있다.
다만
이런 담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아직 주류로 자리잡지 못했다는 게 안타까운 점이 아닐까. 이런 상황에서 인류의 오만함을 지구의 의인화로 경고하려 했다면 매우 단순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제 ... ...
美FDA “트랜스지방 안전하지 않다” 전면 금지 추진
동아일보
l
2013.11.11
지방은 ‘식품 첨가제’로 분류돼 규정에 따른 허가 없이는 식품에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다만
, FDA는 관련 업계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트랜스 지방을 식품에 첨가하고 있는 업체들에 대해서는 성분을 조정할 수 있도록 준비 기간을 주기로 했다. 마거릿 햄버그 FDA 국장은 “미국에서는 지난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높지만 여론에 둔감한 중국에서 진행되는 일이다보니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다만
많은 유전학자들은 설사 영재 2000여명의 게놈을 분석하더라도 수학유전자나 지능유전자라고 불릴만한 특정한 유전자를 찾지는 못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왜 그럴까.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 ...
지구라는 행성에서 인간이라는 현상을 공부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3
알지 못했던 과학상식들이 어우러져 책을 읽는 내내 즐거움이 툭툭 튀어 나온다.
다만
평소 과학공부를 부지런히 하지 않았던 독자라면 중간 중간 사전을 찾아보는 수고는 필요할 것이다. 이책은 서호주 사막지대 여행을 떠나는 여행자들의 참고서적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 1장에서 탐사 일정 ... ...
유령 닮은 우주 구름, 우주공간에도 구름이?...“정체는”
동아닷컴
l
2013.10.24
모습처럼 희미한 잔상이 있는 구름이다. 이 구름의 실체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네티즌들은 유령처럼 보여 유령 닮은 우주 구름이라는 이름을 붙었다. 이 구름에 대해서는 각종 추측들이 무성하다. 한 해외 언론은 로켓 발사가 남긴 흔적으로 추정했다. 지난 10일 러시아가 케프시틴 ... ...
사람도 쥐도 초파리도 잠을 자야만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즉 낮에 활동할 때는 엔트로피가 증가하고 밤에 잠을 잘 때는 다시 줄어든다고.
다만
감소하는 양이 앞서 증가량을 완전히 상쇄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완만하게 증가하는 곡선으로 보인다는 것. ‘대단한 구라’라고 생각하면서도 그 뒤 십 수 년 동안 잠의 과학에 대한 뉴스를 볼 때마다 ... ...
이전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