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373건 검색되었습니다.
SF 속 뇌 이식 실현되나…인간의 뇌 오가노이드 이식한 쥐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2.10.14
뇌에 이식해 일부 뇌 기능이 작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세르기우 파스카
미국
스탠퍼드대 정신의학 및 행동학과 교수팀은 인간 줄기세포로 만든 뇌 오가노이드를 쥐의 뇌에 이식하고 신경 회로를 연결하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12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오가노이드는 ... ...
"키 결정 8할은 유전자"...새 변이 1만2000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3
말했다. 키에 대한 유전적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뤄져 왔다. 2017년
미국
, 영국, 호주 등 280개 연구팀으로 구성된 '자이언트(GIANT) 연구컨소시엄'은 사람의 키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변이 83개를 확인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국제공동연구팀은 성인 71만1428명의 ... ...
[기후위기와 산림] 현대판 '노아의 방주'에 소나무를 태우려면
2022.10.13
통가의 해저화산이 분화하면서 발생한 쓰나미로 인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크루즈 지역에 바닷물이 밀려 들어오면서 상당수의 주택과 차량이 물에 잠겼다. 연합뉴스 제공 2009년 개봉한 SF영화 ‘2012’에선 대도시를 무너뜨리는 지진과 화산폭발, 히말라야 산맥까지 집어삼키는 해일 등 거대한 ... ...
노벨물리학상 영예 '양자기술' 인재 10년간 1000명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3
68명, 양자센싱은 7명이다.
미국
, 중국 등이 글로벌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미국
등 해외에서 활동하는 재외한인 연구자도 50명 가량 확인됐다. 이날 과기정통부는 양자 분야 인재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국내 대학과 대학원이 연합해 구성한 양자대학원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 ...
말라붙은 美호수 바닥서 1천200만년 전 화산재 흔적 발견
연합뉴스
l
2022.10.13
8.51m)로 낮아졌다. 이는 저수 가능한 총량의 27%에 불과한 수준이다. 제이크 로웬스턴
미국
지질조사국 연구원은 미드호에서의 이번 발견을 두고 "이 지역의 지질 역사를 재구성하고, 대규모 화산의 폭발 빈도와 그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유진 스미스 네바다대 ... ...
"우주항공청 논의에 철학 없다...'청' 뛰어넘는 법제도 고민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우선이 아닌 비전과 철학을 먼저 따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모델로 한 우주항공청 설립을 국정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우주항공청 설립을 위해선 정부 조직법 개편이 필요하지만 지난 6일 발표한 개편안엔 우주항공청 내용이 빠졌다. 관련 입법 등의 과정을 ... ...
실험실 유출 vs 야생동물...코로나19 기원 놓고 논쟁 재점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정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조사단의 일원인 피터 다스작
미국
에코헬스얼라이언스 대표는 “아무도 WIV에서 바이러스가 어떻게 처리됐는지 독립적으로 감시하지 않았다”며 발원지의 결정적 증거가 제시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화난수산시장에 공급되는 동물들을 ... ...
곤충 식욕이 공룡시대보다 더 왕성해졌다...인간탓?
연합뉴스
l
2022.10.12
멸종하기 전인 6천680만년 전부터 약 200만년 전 최신세(홍적세)까지의 식물 잎 화석 64개와
미국
및 코스타리카 등지의 3개 숲에서 1955년 이후 최근까지 채취한 잎을 비교했다. 그 결과, 곤충에 의한 피해는 현대 숲에서 채취한 잎이 화석 잎의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곤충 피해 빈도도 모든 ... ...
프랑스 모험가 '북극 얼음 아래서 6개월 살기' 도전한다
연합뉴스
l
2022.10.12
나설 계획이라고 영국 일간 더타임스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21년 9월 16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 인공위성에 포착된 북극해 얼음 모습.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판매 금지] 프랑스 모험가 알방 미숑(45)은 북극해 속에 특수 고안된 수중 실험실을 만들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6개월간 ... ...
우주선 소행성 충돌, 궤도 바꿨다…NASA "지구 방어 실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충돌 실험 결과 소행성의 궤도가 변경됐다고 발표했다. NASA/Johns Hopkins APL/Steve Gribben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쌍 소행성 궤도수정 시험(DART·다트) 결과 소행성 '디모르포스'의 궤도 변경에 성공했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11일(현지시간) 브리핑을 통해 다트 임무로 소행성의 공전 주기를 11시간 5 ... ...
이전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