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손상
재해
해
해독
악영향
폐
d라이브러리
"
위해
"(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옆으로 돌려야 해요. 그래야 프로펠러가 물을 밀어내며 추진력을 얻을 수 있지요. 이를
위해
연구팀은 물 주머니를 이용했어요. 물을 채우면 한쪽이 무거워지며 방향을 바꾸도록 만든 거예요.라와쉬드 교수는 “룬 콥터가 침몰한 선박이나 항공기 내부 수색작업에 활용되길 바란다”고 밝혔답니다 ... ...
[과학뉴스] 바다거미는 소화관으로 혈액을 순환시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소화관이 심장 대신 혈액을 옮긴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소화관은 음식물을 옮기기
위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연동운동을 해요. 바다거미는 이 연동운동을 이용해 몸 곳곳으로 혈액을 보냈지요.연구를 이끈 아서 우즈 교수는 “추가 실험을 통해 바다거미의 심장은 몸통과 가까운 다리 일부에만 ...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이를 통해 훨씬 정확한 기후 예측 모델을 만들 거예요. 또 이 자료들을 처리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도입할 예정이지요. UNIST 도시환경공학부 이명인 교수는 “폭염 예보가 하루 빨라질 경우 피해자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며, “폭염 예보를 3일, 길게는 2주일까지 앞당길 예정”이라고 말했답니다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대신해 원전에 들어갈 로봇을 개발하기 시작했지요. 후쿠시마 원전 내부를 탐색하기
위해
서는 해결해야 할 숙제가 하나 더 있어요. 바로 물 속에서도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는 거예요. 도시바 핵에너지 시스템 및 서비스과 고로 야나세 매니저는 “방사능과 물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작은 ... ...
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경연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되는 수중로봇인 ‘올카(Orca)’를 만들어 4등을 차지했죠. 그때의 아쉬움을 만회하기
위해
작년 대회가 끝나자마자 친구들과 아이디어를 모으기 시작했어요. 그게 올해의 ‘벨루가’가 됐죠.Q. 우승 비결은 무엇인가요?팀원 모두가 벨루가를 개발에 푹 빠졌던 것이 비결이라고 생각해요. 개발하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문제라 말씀하시며 설명을 이어가셨어요.“실제로 우주과학자들이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머리를 싸맸어요. 그러던 중 1940년대 독일에서 개발한 V-2 로켓부터 해결 방법을 찾았죠.”비결은 바로 연소실 주변을 감싸고 있는 관이었어요. 이 관에 계속해서 차가운 연료가 흘러들어가게 만든 거예요.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렌즈로 햇빛을 모아 열을 가하자 무색의 기체가 발생했지요. 기체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기체 속에 촛불을 넣자 불꽃이 더 커졌어요. 바로 산소를 발견한 거예요.사실 산소는 스웨덴 화학자 ‘칼 빌헬름 셸레’가 2년 전에 먼저 발견했어요.그럼에도 프리스틀리가 셸레보다 먼저 논문을 발표했기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하나하나를 따로 조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죠.저희 연구실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팔을 가진 수중로봇을 개발하게 됐어요. 또 조종하는 도구도 로봇팔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햅틱 장치로 만들었고요. 그 결과 오션원은 사람처럼 두 손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됐어요. 또 사람이 쓰던 ... ...
[과학뉴스] 개미 탑의 원리를 밝혀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만들었어요. 남아메리카에 사는 붉은 불개미는 먹이를 찾거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이런 행동을 하지요. 그동안 과학자들에게 이 탑은 미스터리였어요. 아래에 있는 붉은 불개미는 수십만 마리의 개미들 밑에 깔려 있으면서도 상처를 입거나 죽지 않거든요.그런데 최근 미국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오직 주변에 암컷이 있을 때만 구애를
위해
연주를 시작하지요. 암컷에게 잘 보이기
위해
노래를 함께 부르는 수컷도 있답니다.연구를 이끈 로버트 하이손 교수는 “음악 속에 숨겨진 각자의 박자는 암컷에게 보여 주는 자신에 대한 정보인 셈”이라며,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개체마다 갖고 ... ...
이전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