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체험] 소행성 접근, 수학으로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이번 취재에서 무엇을 배우고 느꼈을까? 이홍주, 허지원 독자기자의 취재 수첩을 지금
바로
공개한다!수학+지구과학+물리가 만나면?!이홍주(대전 전민고 3)‘타원’이라는 수학적인 개념과 ‘회합주기’라는 지구과학 개념, ‘케플러의 법칙’이라는 물리 개념은 모두 고등학교 과정에서 각각 다른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개발)’은 무게 430g에 날개 길이가 72cm다. 와습은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할때
바로
손으로도 날릴 수 있는 형태로 고안됐다. 무게와 크기가 유사한 우리나라 무인기도 있다. 한화가 개발한 소형 고정익 무인기 ‘크로우(CROW)’다. 무게 500g에 날개 길이가 70cm다.초소형 무인기에서만 만날 수 ... ...
새들을 내쫓는 베이스 소리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사장은 “뇌우가 칠 때 비슷한 주파수의 소리를 내는데 새가 뇌우 소리가 들리면
바로
피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로 보인다”며 “이 장치가 사전시험에서 좋은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 또 후세이니 사장은 “이 장치가 도시의 골칫거리인 비둘기떼를 광장에서 몰아내거나 풍력발전기 터빈에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물은 있다. 표면 온도가 수백℃까지 올라가는 불지옥에 어떻게 물이 있을 수 있을까.
바로
달에 물이 있는 이치와 같다. 수성은 자전축이 공전궤도면에서 2° 정도만 기울어져 있다. 그래서 극지에는 영구적으로 태양빛을 받지 않는 그늘이 생길 수 있다. 수성에는 대기가 거의 없어 직사광선을 받지 ... ...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같은 통신 제어 시스템도 구축해야 한다. 이동통신 사업에 막대한 비용이 드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셀룰러 통신의 기지국 역할을 와이파이 통신에서는 AP가 담당한다. 그러나 기지국의 MAC 프로토콜이 담당하는 일은 와이파이 AP가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가 직접 한다. ... ...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건조한 공기일수록 수증기를 머금은 외부 공기를 만나면 눈이 올 가능성이 높아진다.
바로
지난해 12월 내린 눈처럼 말이다.앞으로 눈은 얼마나 많이 오고 날씨는 얼마나 추울까. 기상청은 기온과 강수량이 모두 평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평년 기온이 영하 6~ 영하 2℃인 것을 미루어 눈을 ... ...
가장 특별한 스페셜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참가하는 올림픽 ‘패럴림픽’전 세계 신체장애인들이 참가하는 올림픽도 있어요.
바로
장애인올림픽대회(패럴림픽)예요. 올림픽이 열리는 해마다 그 개최국에서 열리지요. 영국의 루드비히 구트만 박사가 2차 세계대전에서 척수장애를 얻은 군인들을 재활시키려고 운동을 시킨 것이 계기가 ... ...
빙하가 숨겨 놓은 얼음 세계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등산객으로 발디딜 틈이 없는 곳이다. 그러나 아직 이곳에도 미지의 세계는 있다.
바로
빙하 속 얼음 동굴이다. 과학동아에 동굴 화보를 게재했던 탐험가 겸 사진작가 로비 숀이 이번에는 이곳을 찾았다.(2012년 10월호 화보 ‘태고의 어둠 속에서 찾은 절경’ 참조.) 로비 숀을 포함해 8명으로 이뤄진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건강에 유리할 수도 있다고 일반화해도 되지 않을까. 하지만 여기에 함정이 있다.
바로
‘쓰레기 채식’의 유혹이다.언젠가 트위터로 준채식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그러자 종종 이야기를 나누던, 역시 준채식(페스코)을 하는 한 대학병원 의사가말을 걸었다.“의사인 제가 보기에 건강에 최소한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부각된 게 이번 포럼의 큰 의미였다.한·중의 여러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부분은
바로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이다. 지속가능성의 의의는 환경을 보호하려는 노력과 지역주민들의 경제생활이 서로 이득을 보는 윈-윈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다. 최소한 서로 대립각을 세우는 일은 없어야 ... ...
이전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