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고래 잡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매년 약 900만명이 고래 관광에 몰려 10억달러(1조원) 정도의 관광수입을 올리고 있다.이에
대해
일부에서는 고래의 서식처가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어 고래 관광의 시장성이 없다는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환경운동연합 최 실장은 “제주도 앞바다에선 지금도 큰돌고래가 해변에 몰려와 새끼를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미국과 캐나다, 중국과 반대로 한반도에선 공룡발자국 화석이 압도적으로 많다. 이에
대해
이 박사는 “생활하기 좋은 지역보다 산사태나 건조한 기후처럼 극한 상황에서 오히려 화석이 되기 쉽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말한다.그렇다고 공룡 뼈화석 발굴을 결코 포기한 것은 아니다. 전남대 ... ...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깃털이 발달했다.지난 수십년 동안 고생물학계는 새가 어떻게 하늘을 날게 되었는가에
대해
두가지 이론이 팽팽하게 맞서 있었다. 하나는 땅 위를 빠르게 달리다 하늘을 날았다는 ‘이륙’(ground-up)설과 공룡이 나무 사이를 날다람쥐처럼 활공하다 날게 되었다는 ‘활강’(tree-down)설이다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전했을지도 모른다. 조선의 초청에도 불구하고 아인슈타인이 오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일본 긴키대학의 스기모토 겐지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가이조 사는 아인슈타인을 초빙하기 위해 상상할 수 없는 많은 돈을 줬습니다. 하지만 조선에는 그만한 돈이 없었을 것입니다.”겐지 교수는 아인슈타인 ... ...
계절마다 별의 위치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를 연주시차라고 한다. 비교적 가까이 있는 별은 멀리 있는 별에
대해
6개월의 기간을 두고 본다면 그 위치가 바뀔 거라는 생각이다. 우주공간이 광범위하고 보이는 별들 또한 거리가 다양하다고 생각하면 지구가 공전함에 따라 별의 연주시차가 발생한다. 지구 공전궤도의 ...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어렵다”고 전망했다.영화야 과학과 상상력이 결합한 것이니 잠깐만 과학적 오류에
대해
눈감아 주자. SF작가 아서 클라크는 “아주 발달한 과학은 마술처럼 보인다”고 했다. 라이트 형제가 비행기를 만들기 전에 당대 최고의 과학자들조차 인간이 하늘을 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왜 ... ...
4. 익룡은 네 발로 걸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만한 공간이 없었다”고 발표하며 빠른 속도로 뛸 수 없는 공룡이었다고 못박았다.이에
대해
“티라노사우루스는 달리기 속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먹이감보다 얼마나 빨리 뛸 수 있었느냐는 점”이라며 폭군 티라노사우루스에 힘을 주는 이들도 있다. 2.5m에 달하는 긴 다리를 가진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서울대 심리학과 이춘길 교수는 “그렇게 볼 수 있다”고 말한다. 태어날 때부터 가로에
대해
생득적 경향이 있고, 여기에 교육 등 후천적 환경이 더해진 가로본능이 있다는 것.지난해 이 교수는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로로 쓰인 한글과 세로로 쓰인 한글의 읽기 능력을 비교한 ... ...
햇빛이 나를 늙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생기기도 한다. 심하면 피부암에 걸릴 위험이 있다.사실 자외선A의 이 같은 ‘파워’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 수시간~수일 내에 피부를 그을리거나 붉어지게 하는 자외선B에 비해 자외선A의 영향은 금방 눈에 띠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자외선A는 비슷한 정도의 홍반을 일으키는데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요동의 검출가능성만 알았을 뿐 그 누구도 실제로 전자기파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
서는 장담하지 못했다. 결국 이 문제를 해결한 사람이 독일의 헤르츠였다.헤르츠는 대륙에서 교육받았기 때문에 영국의 장 개념에 익숙하지 못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의 스승인 헬름홀츠가 원격 작용이라는 ... ...
이전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