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THE NOBEL PRIZE 20
1
9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수상자들의 삶의 철학을 들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THE NOBEL PRIZE 20
1
9Part
1
. 이변은 없었다 20
1
9 노벨상 리포트Part2.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Part3.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Part4. 태양계 너머 ...
이변은 없었다 20
1
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캘스트란드 스웨덴 노벨박물관 시니어 큐레이터는 20
1
6년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
1
00년 전에는 전 세계에 물리학자가 약
1
000명뿐이었다면 지금은
1
00만 명에 이른다”며 “노벨상 후보자의 수가 늘어난 만큼 노벨상을 받기까지 대기 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과거나 지금이나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데 니켈-금속수소 전지가 약 3개 필요했다면, 리튬이온전지는
1
개만 있어도 충분했다.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극대화하려는 경쟁이 심해질수록 리튬이온전지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지금은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차에도 리튬이온전지가 쓰인다. 또 풍력, 태양광 등 ... ...
T-800, 28년 만에 등장 터미네이터도 늙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을 일으켜 원래 모양으로 복구된다. doi:
1
0.
11
09/ROBOSOFT.20
1
9.872278
1
또 20
1
7년 한국화학연구원은 황 화합물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더해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복분해반응’이 잘 일어나게 하는 신소재를 개발했는데, 이 신소재는 기존 소재보다 기계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공학적으로 가능한 구조를 잘 고려해서 설계를 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했다. 그래서 20
11
년부터 서울시립대 강단에 섰다. 국내 대학에서 건축 분야 전공은 크게 건축학과 건축공학으로 나뉜다. 건축학은 디자인을 고려한 건물의 설계도 작성을, 건축공학은 그 설계도가 구조적으로 안정적인지 등을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02~20
1
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 책임자를 맡았다. 20
1
4~20
1
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
1
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을 이끌었다. gwcho@kari.re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하므로 투명하기도 해야 합니다. 박 교수팀은 지름이 수십nm(나노미터·
1
nm는
1
0억분의
1
m)인 은(Ag) 나노와이어를 그물 구조로 만들어 투명하고 변형이 자유로운 전기 전도체를 만들었습니다. 은은 원래 불투명합니다. 그런데 은을 가늘고 긴 나노와이어로 만들고 이를 그물 구조로 엮으면 그물 사이에 ... ...
[영국유학일기] 악명 높은 난이도 낙제는 곧 퇴학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모른다는 공포감 때문일까. 시험 기간 전후로 자퇴하는 학생도 간간이 있다.
1
년 내내 공부에 힘써도 시험 기간만 되면 시간이 부족하다. 나는 물 뜨러 부엌에 가는 시간도 아까워서 6L짜리 물병과 시리얼을 옆에 쌓아두고 공부했다. 이런 고통스러운 시험 기간이 끝나면 뒤풀이 파티들이 열리는데, ... ...
[수학뉴스] 드론과 적분으로 고래 무게 측정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양도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생태 및 진화 방법론’
1
0월
1
일 자에 실렸습니다.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데 성공했다. 복제된 다윈의 자식은 또 한 번 자신을 복제해 다윈의 손자까지 탄생했고,
1
개의 3D 프린터는 금세 3개로 증식했다.보이어 박사는 여기서 더 나아가 3D 프린터의 설계도와 소프트웨어까지 인터넷에 공개해 누구든 자기 복제 로봇을 만들 수 있는 ‘렙랩(RepRap)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 ...
이전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