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d라이브러리
"
모든
"(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산균 5형제, 면역세포 길들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피부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을 가진 쥐도 모두 나았다. 면역조절 T세포가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염증을 가라앉힌다는 사실을 처음 발견한 것이다. 임 교수는 “장 속 면역조절 T세포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1월 13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 ... ...
반도체공학 및 전기화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기술의 원리를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앞서 갈 수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반도체는 거의
모든
전자 제품에 사용되기 때문에 취업의 길은 다양하다. 전자 회사 외에도 차세대 에너지에 관심이 많은 정유 회사나 에너지 회사에 입사할 수 있다. 또한 원자핵 연구소를 비롯한 국·공립 연구소에도 간다 ... ...
직접 만드는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마음껏 설계·제작할 수 있다. 끼우기 빡빡한 부품도 없어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모든
재료는 준비됐다.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자신만의 멋진 롤러코스터를 설계하고 만들어 보자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한반도에서도 일본납작진딧물을 먹고 사는 바둑돌부전나비가 유일한 육식성). 그래서
모든
나무와 풀에는 나비목 애벌레가 존재한다고 믿어도 된다. 천천히 산길을 걷다보면 종종 나뭇잎에 앉아있거나 줄기에 매달려있는 모습이나 길을 걸어가는 애벌레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런 행운도 있지만 ... ...
“내신성적 반영, 전교과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것을 한국어로 표현해야 한다. 물론 좋아하는 영시 한 구절 읊어 보라고 할 수는 있지만
모든
문답을 영어로 하지 않는다.체력검사에서 탈락하는 학생이 있는가?물론 있다.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 하나고는 지·덕·체가 아니라 ‘체·덕·지’를 강조한다. 그렇다고 아주 높은 수준의 ... ...
Hackers Use Heat from Fingertips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프리젠테이션에서 ATM이 현금을 쏟아내게 했다. 그는 네 종류의 ATM 모델을 살펴보고
모든
기계를 해킹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메인 회로나 마더보드는 비교적 쉽게 열리는 자물쇠 달린 문 하나로 보호된다. 그는 해커가 ATM의 메인 회로 혹은 마더보드로 접근하는 방법을 보였다. 그가 마더보드의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주였다. 양자역학은 완성되기 이전부터 여러 분야에 응용되기 시작해 이제는 거의
모든
물리과학 분야의 토대가 됐다. 양자역학을 활용한 역사를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일은 20세기 과학사를 처음부터 다시 이야기해야 할 정도로 방대하다. 여기에서는 20세기 중반, 양자역학이 어떤 분야에 영향을 ... ...
Part 2. 숫자의 마법, 진짜 유망주 찾는 통계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것을 알 수 있다. 제임스가 도입한 OPS와 WHIP, RC를 분석해보면 그가 실제 일어나는 야구의
모든
플레이의 특성을 살펴보고 과학적으로 고찰한 뒤 편견과 속설을 제거해 나간 것이다. 빌리 빈은 이렇게 만들어진 통계를 이용해 팀 운영에 도입했고 큰 성공을 거두었다. 오클랜드의 성공 뒤에는 과학적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효과를 내는 능력은 재료를 가공하고 배합하는 기술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오늘날
모든
화장품은 국제화장품원료사전(ICID)이 인정한 재료만을 사용한다. 그래서 브랜드가 달라도 용도가 같다면 전체의 반 이상은 같은 재료가 들어간다. 하지만 같은 스킨이라도 수십만 원을 호가하는 제품이 있고 ... ...
과학이 아니라 자연을 만나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런 이야기를 쓰지는 않았다. 하지만 짐작할 수 있는 근거가 있다. 저자는 하루 중 거의
모든
시간을 좁은 방 안에서 함께 지냈으면서도 달팽이가 사라질 때까지 이름을 붙여주지 않았다. 글 속에서 달팽이는 그냥 ‘달팽이’일 뿐이다. 이름을 붙이거나 분류를 하는 일은 인위적인 일이라고 ... ...
이전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