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카페] 피하고 맞히고 탑다운 슈터 下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다양한 게임 ‘뚝딱’ 만드는 게임 엔진게임은 어떤 소프트웨어로 만들까요? 자동차 엔진 하나로 겉모습을 달리해서 온갖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처럼 게임을 만드는 소프트웨어인 게임 엔진을 이용하면 쉽게 여러 게임을 창작할 수 있어요. 컴퓨터는 물론 안드로이드폰, 아이폰 등 서로 다른 하드웨 ... ...
- Intro. 황금비의 대명사는 파르테논 신전과 앵무조개?!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속았다. 속아도 단단히 속았다.’황금비의 사례로 알려진 대부분의 건축물, 예술작품에는 황금비가 없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수학적으로 아름다움을 증명한 비라고 오해한 탓에 수많은 역사가와 예술평론가가 황금비에 쉽게 현혹되고 말았습니다. 한 번 잘못 알려진 황금비 작품은 그게 사실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황금비를 토대로 작품을 만들었다는 증거도 없습니다.박제남 인하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는 “황금비를 적용한 예술작품이 많은데, 굳이 황금비인지 아닌지 정확히 알 수 없는 작품을 황금비 작품이라고 소개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황금비 열풍의 범인은 파촐리황금비를 이용했다고 잘못 ... ...
- Intro. 미래에는 150살까지 산다?! 나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나는야 텔로미어! 사람 몸속에 살고 있지. 내 특기는 어떤 생물이든 보기만 해도 나이를 척척 맞추기야. 이 나무는 50살이고, 저 조개는 80살이군. 저기 보이는 해면동물은 무려 1만 1000살이라고!그걸 어떻게 아냐고? 지금부터 내가 그 비밀을 알려 줄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에는 150 ... ...
- 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세포의 수명을 알려 주는 텔로미어우리 몸 세포는 끊임없이 태어나고 죽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어요. 시간이 지나면 길게 자란 손톱과 머리카락을 잘라야 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그런데 세포가 언제 태어나고 죽는지를 결정하는 건 무엇일까요? 그 답은 ‘텔로미어’랍니다.우리 몸은 약 60조 개의 ... ...
- 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쬐었더니, 손상 정도가 일반 신장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어요.구니에다 교수는 “이 단백질을 이용하면 미래에 장기간 우주 여행을 가거나 방사선에 오염된 환경에서 작업하는 사람의 세포를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물곰은 지난 2007년 유럽우주국(ESA)의 무인 ... ...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기능 제공Q 지구사랑탐사대란?와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교수팀이 함께하는 무료 생태 탐사 프로그램이에요. 온가족이함께하는 생태탐사이자, 시민이 과학자의 연구에 참여하는 대규모 시민과학 프로젝트지요.탐사대원으로 선발되면 4월 초 발대식을 시작으로 11월 말 ... ...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닭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우선 달걀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가장 먼저 만들어지는 건 노른자예요. 이후 흰자가 노른자를 에워싸고 얇은 막이 둘을 감싸면, 자궁에서 달걀 껍데기가 만들어지지요. 이때 ‘오보클레디딘-17(OC-17)’이라는 단백질 성분이 달걀 껍데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한 ... ...
- [에디터 노트] 모두 다 생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미래지향적입니다. 지난 1월호의 ‘복원력 강한 도시 구조’ 연구나(서울대 송준호 교수), 이번 호의 ‘시멘트 없는 콘크리트’ 연구(UNIST 오재은 교수)는 건설 공학이 최근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어떤 미래를 상상하고 있는지 알게 해줍니다.영감 어린 인터뷰 한 대목에 눈이 갔습니다. “야근 ... ...
- [과학뉴스] 달고 기름진 식단이 살찌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억제제가 정상체중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점도 알아냈다.디파트리지오 교수는 “유럽 비만치료제 시장에 이미 엔도카나비노이드 시스템을 억제하는 약이 시판됐지만 정신적인 부작용을 일으키는 단점이있다”며 “새로 발견한 AM6545억제제는 뇌에 전달되지 않아 부작용이 없다”고 말했다 ... ...
이전4694704714724734744754764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