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5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서울대공대 공학 학술상 시상식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교수 △강기석 재료공학부 교수가 선정됐다. 이 상은 서울대 공대 동문으로 태성고무
화학
의 창업자인 고(故) 정석규 신양문화재단 이사장이 젊은 교수들을 위해 대학발전기금을 출연하며 2005년에 제정됐다. 올해까지 총 81명의 교수들이 이 상을 수상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17일 ... ...
11회 윤광열 약학상에 오유경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탁월한 대한약학회 회원에게 수여된다. 오 교수는 지난 20여 년간 약물 전달 분야에서
화학
항암제와 바이오 의약품을 문제를 일으키는 부위로 정확히 보내기 위한 방법을 연구했다. 암세포 주변의 환경을 분석해 독창적인 전달 방법을 고안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핵산의약 및 항암의약의 ... ...
UNIST, '합리적인 유기물 광촉매 설계 플랫폼'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설계할 수 있을 것”며 “고분자뿐아니라 인공광합성, 물분해 등 다양한
화학
반응을 돕는 촉매 생산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 10월 11일 학술지 '네이처 촉매(Nature Catalysis)'에 발표됐다. 연구진이 개발한 유기물광촉매 개발 순서도다-UNIST 제공 ... ...
“광고 속
화학
제품 사용 모습 시청자 행동에 영향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엘리베이터 등 밀폐된 공간에 갔는데 주변 사람들 표정이 이상하다. 옷에서 냄새가 나는지 신경 쓰인다. 뿌리는 탈취제를 사용하고 나 ... 행사에서는 유 교수 외에 이병훈 서울대 약대 교수와 배옥남 한양대 약대 교수가 생활
화학
물질의 안전한 사용법과 위해성 평가 방법에 대해 발표했다 ... ...
폐수 속 골칫덩이 발암물질, 나노고분자로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사실도 확인했다. 두 번째는 6가 크롬 화합물의 산소와 질소가 '수소결합'이라는
화학
적 결합을 형성해 빨아들이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역시 물 속 6가 크롬이 고분자에 붙어 제거되는 식이다(위 그림 c). 최재우 책임연구원은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기 좋은 형태의 물질을 후속 연구로 개발해 ... ...
佛 루브르박물관도 문화재 보존 위해 원자력을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특히 연구용원자로 하나로에서 핵분열 과정에서 생성된 중성자는 검출 감도가 높아
화학
적인 분석법으로는 불가능한 미량 분석이 가능하다. 문화재의 산지 및 연도를 추정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시료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원소를 비파괴적으로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이 ... ...
[과학게시판] 국민생활과학기술포럼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행사를 개최한다. 올해 행사는 2008년 노벨
화학
상 수상자인 마틴 챌피 교수, 2002년 노벨
화학
상 수상자인 쿠르트 뷔트리 연방공대 교수 등 노벨상 수상자 2명이 참석는 ‘노벨상 수상자와의 대담’에 이어 과학기술계 최대 인권기구 국제회의인 ’제13회 국제과학인권회의’ 등의 행사가 진행된다. ... ...
“진짜 LED TV 구현 가능해진다”… 고효율 마이크로 LED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기술이다. 연구팀은 빛 투과도가 98% 이상으로 매우 높은 물질에 금속 이온을 전기
화학
적으로 섞어 넣는 ‘도핑’ 방법을 이용, 효과적으로 전기를 흘려 넣을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투명전극을 만들어냈다.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도가 매우 높은 질화알루미늄 속에 인듐과 ... ...
100번 이상 접어도 효율 높은 ‘유기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휴대용 유기 태양전지가 실용화 되는데 초석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연구는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10월에 게재됐다. 유연성 유기 태양전지를 개발한 연구진.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이병규, 정성우, 조용준, 산산 첸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 ...
“물리-
화학
-평화상에 여성… 2009년 5명 이후 두번째로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0.13
없고요. 재미있는 것은 생리의학상을 받은 두 사람이 연구한 분야는 원래 완전 기초생
화학
이었다는 거예요. 그런데 그게 항암제로 이어져 널리 쓰이고 있죠. 말랄라: 경제학상도 흥미로웠어요. 기후변화나 기술혁신 등 다른 분야를 경제학과 연결시킨 학자들이 받았으니까요. 특히 기후변화는 전 ... ...
이전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