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생물들이 존재하게 되었다고 설명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따라서 생명현상을 분자
수준
에서 이해할 수 없었던 과거에 제기된, 다시 말해 직관과 편견으로부터 출발한 소위 생명의 '자연발생'과 점진적인 진화에 따른 '종의 다양화'에 대한 가설은 마땅히 재검토돼야 할 것이다. 동일과정설 대 ... ...
남은 수명 어떻게 계산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체중 흡연량 식생활습관 성생활 수면시간 등이 들어가 있 다.교육정도와 직업항에는 교육
수준
은 물론 직종 가계수입등이 있으며, 생활방법에는 결혼생활 친구관계 등이 분류돼 있다. 계산방법은 동양인의 수명 예상표에서 여명 예측 연령을 계산해내고(20세 고졸학력 남자는 여명 예측 연령이 73.7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3.15%인데 반해 한국은 전산업평균 1.61%, 제조업평균1.88%가 고작이다.일본이 우리의 기술
수준
을 어떻게 보느냐는 작년 니혼케이자이(日本經濟)신문의 한 기사에서 잘 나타난다."반도체 메모리분야는 일본기업과 개발경쟁을 벌이는 한국기업이지만 그외의 분야에서는 기술적으로 볼만한 것이 없다.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살펴 보았다. 이제 자연스럽게 '90년대에 들어선 우리는 언제까지 남의 이야기를 듣는
수준
에서 머무를 것인가'라는 질문이 나올 차례일 것이다.아직 본격적인 과학소설의 소개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세계적인 과학소설 작가가 우리나라에서 나와야 한다는 바램을 ... ...
4 교수중심의 교실제가 걸작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되면 65세까지 아무런 평가없이 계속 그 권좌를 누리고 있고, 교수들의 논문이 국제
수준
에 전혀 따라가지 못한다고 지적하고 있다.따라서 기업체들은 국내의 대학에서 배운 지식이 회사에 아무런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해 전공에 관계없이 사원들을 채용하고 있다. 연구비를 주려고 해도 줄만한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정립, 현대물리학의 지평을 연 아인슈타인이 자신의 전공외에 바이올린 연주도
수준
급이었다거나 원자폭탄을 만든 오펜하이머가 라틴어를 비롯, 수개국어에 능통했다는 사실에 견주어 존 바딘의 다채로운 삶도 얼핏 '천재는 무엇이나 잘한다'는 통념을 확인하는 한 사례로만 볼 수 있다. 그러나 ... ...
뱀 대신 컴퓨터로 지진 예측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각 가정에서도 지질연구소에서 제공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자신들이 느낀 진동이 어느
수준
의 강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까지는 84가구가 이 계획에 참여하고 있는데 앞으로 5백가구 정도가 망으로 연결되면 지금보다 2~4배 더 정밀한 예측이 가능해진다 ... ...
뛰다가 지치면 TV보며 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필요하다는 걸 발견했다. 하지만 닭이나 원숭이 고양이 몇종의 도마뱀류는 거의 인간
수준
으로 초당 60개의 영상만 필요하다. 결국 이들은 동물왕국의 잠재 시청자층인 셈이다.그런데 2차원 스크린에 나타난 움직임을 지각하는 동물들이 과연 그들이 본 영상을 이해하는 지가 의문이었다.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문제의 세팔로스포린 C(Cephalosporin C)가 분리됐다. 세팔로스포린 C의 항균력은 흡족할 만한
수준
이 아니었다. 하지만 페니실리나제를 생성하는 포도상구균을 죽이는 '장기'를 갖고 있었다. 게다가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력이 페니실린보다 월등하다는 점이 연구자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자동화에 극적인 발달을 가져왔다. 하긴 일본측에서도 대공포화의 자동조종화가 상당
수준
까지 개발돼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개별적인 문제를 통합, 통일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이론+기술'의 체계는 독일이나 미국에 비해 절대적으로 뒤지고 있었다. 이러한 후진성을 자초한 배경에는 뜻밖에도 ... ...
이전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