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과학"(으)로 총 21,0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심심해서 하는 50문 50답포스팅 l20211022
- 받은 것 : 포챠코 우유병 키링 #24 . 잘 하는 것 : 숨쉬기 , 먹어치우기 #25 . 못 하는 것 : 체육 , 국어 , 영어 , 수학 , 사회 , 과학 , 필기 , 논술 , 수영 등등 .. #26 . 다니는 학원 갯수 : 6개 ( 더 다닐 예정 이라고 함 #27 . 좋아하는 색 top 3 : 주황 / 검정 / 하양 #28 ...
- [과학동아천문대 - 이달의 우주날씨] '누리호' 대한민국 우주시대를 열다! (오늘 저녁 7시)공지사항 l20211021
- 출처: 항공우주연구원 안녕하세요 과학동아천문대입니다! 우리나라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10월 21일 오늘!! 첫 발사를 시도합니다. 발사 시도 시간은 오후 5시경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오늘 7시! 동아사이언스 온라인클래스 [이달의 우주날씨] 에서 항공우주연구원상 발사 영상을 받아 취재 기자와 천문대장님과의 인터뷰 ...
- 과학 프렌즈 ep.1포스팅 l20211021
- 1.벚꽃 공원과 다이아몬드월요일 아침. "아하암~잘 잤다~"월요일은 개교기념일이어서 아침 늦잠을 잘 수있었어. 물론 그 때 사건이 터졌지만.....어떻게 알 수 있었냐구? 당연히 순하가 전화했으니까! 전화내용은 이러했어. "헉헉...하...하이야...그...그게 지금 사....사건이 하나 터진것같아!헉헉 지금 빨리 헉헉 ...
- 이걸 누르는겁니다포스팅 l20211021
- 이거--->유진하 포트폴리오 - 어린이과학동아&어린이수학동아 (dongascience.com) 위에거 눌러요!!!1 ...
- [다이노 월드-3] 티라노사우루스의 진실기사 l20211020
- 안녕하세요, 박시후 기자입니다. 오늘은 흔히 공룡의 왕이라고 불리는 티라노사우루스의 진실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출처: https://namu.wiki/w/%ED%8B%B0%EB%9D%BC%EB%85%B8%EC%82%AC%EC%9A%B0%EB%A3%A8%EC%8A%A4(%EC%A5%AC%EB%9D%BC%EA%B8%B0%20%EA%B3%B5%EC%9B% ... ...
- 북소리 담청 기사기사 l20211020
- 다음번에는 이런일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본론으로 가죠 곤충 수업 제가 언제나 말하다싶히 저의 꿈은 과학자입니다. 종류는 다양하지만 저는 모두 좋아하고 관심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많은 책 중에서 관충을 골랐었죠. 그런데 담첨이 되서 너무너무 좋았습니다. 이책에 관하여서 알게된 점은 새로운 신종 곤충 ...
- 제15회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 참가 후기기사 l20211020
- 해설 선생님들도 소개해 주셨습니다. 그리고 간단히 체조를 하고 기념사진도 찍고 탐험을 시작하였습니다. 탐험본부에는 어린이 과학동아 부스도 차려져 있었습니다. 서경애 매니저님과 하정주 매니저님 그리고 다른 직원분들이 지사탐 대원들과 독자분들을 반갑게 맞아주셨어요. 탐험을 하다보니 수목원 곳곳에 단풍이 들기 시작하는 나무들이 보였어요. 탐험 ...
- 아재게그포스팅 l20211019
- 먹은 지 얼마나 오랜지? 시험은 시험시험(쉬엄쉬엄) 봐라. 과학은 꽈악 잡고 화학은 화악 잡아야지 벼루가 벼르고 벼르던 한 마디 고르고 고른 고르곤이... 유명 브랜드 모두 모여있는 그곳 합리적 가격 역시 마리오란 말이오 내장산에서 내장을 비우기 위해! 아이유가 뭐하는 아이유? 과장을 한다거나 그러시는데, 우리 무한상사에서 과장 했었거든요. 인 ...
- 국립수목원 제 15회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 참가 후기기사 l20211018
- 하십니다. 버드 피딩을 마친 뒤, 본격적으로 휴게광장의 중심부에 있는 탐험본부로 향했습니다. 메인 무대의 모습 어린이과학동아도 부스 중 하나로 참가해서 매우 기뻤습니다. 이날 저는 지사탐 서경애 매니저님, 하정주 매니저님과 이명주 매니저님, 그리고 다른 동아사이언스 직원분들을 만나뵈었습니다. 다들 오랜만이나 처음 뵙는 거라 반가웠습니다. ...
- 기후변화에 대한 개인적인 짧은 소견포스팅 l20211017
- 속에 남겨진 수상도시가 되고 말것입니다. 결국 몇십년 안에 지구의 99퍼센트가 바다가 되고 말겠죠. 방법이 있을 거라고 믿습니까? 과학자들이 지금까지 갖가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거라고요? 방법이 있다면 왜 그들이 우리에게 제발 자원을 아껴쓰라고 온갖 정보를 들이대며 애원을 하겠습니까? 의료 기술의 측면만에서 보면 우리 ...
이전467468469470471472473474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