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수학의 소금, 피타고라스 정리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그때마다 드는 생각은 ‘맛이 참 다양하다’는 것입니다. 비슷한 재료와 조리법을 사용해도, 맛은 천차만별입니다. 쓰는 재료에도 차이가 있지만, 가장 결정적인 차이는 양념에 있습니다.한국의 된장국과 일본의 미소시루를 떠올려 보죠. 비슷한 재료와 조리법이지만, 맛은 분명히 다릅니다. 이유는 ... ...
- [생활] 냉장고를 부탁해 수학의 눈으로 본 요리 대결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양파는 표면적을 넓혀 빨리 익을 수 있도록 작게 썰어서 굴과 함께 볶았다. 세 개의 불을 사용하면서 1~5의 과정을 한꺼번에 진행한 것이다.최현석 셰프의 굴 차우더 수프 ‘보굴보굴’ 조리 방법 자료 제공 : JTBC➊ 끓는 물에 굴을 넣고 삶아서 육수를 만든다.➋ 팬에 버터, 밀가루를 1:1 ... ...
- [참여] 2015 제1차 미래창조과학부 SW 창의캠프 손끝에서 펼쳐지는 상상의 세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했다. 고무찰흙은 전기가 통하기 때문에 필요한 아두이노 보드 위에 씌워서 사용하면 복잡한 전선 연결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일명 ‘말랑말랑한 키보드’를 인터넷에 연결해 피아노를 연주하며 즐거워했다.말랑말랑한 키보드는 생활 속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 ...
- 제왕나비는 왜 추운 곳에서 겨울을 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제왕나비의 몸무게는 평균 0.5g 정도밖에 안 되기 때문에 무게가 많이 나가는 추적 장치를 사용할 수 없어요. 또 제왕나비는 거의 미국 전역과 캐나다 남쪽에 서식하기 때문에 몇 개의 연구팀이 수행하기에도 벅차지요. 그래서 제왕나비의 이주 경로를 파악하는 연구는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시작해 생각을 구체적으로 발전시키는 방법입니다.❶ 자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도구와 기법-문제와 관련된 수학적 지식, 직관, 문제 풀이 알고리듬 등.● 수동이의 자원 : 학교에서 수학 시간에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에 관한 내용을 배움, 주어진 수들의 공약수와 공배수를 ... ...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어떤 아이디어를 만날 수 있었나요? 이재교(광남중2)A 손쉽게 접을 수 있는 자동차, 카드 사용량을 알려 주는 스마트 지갑 같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만날 수 있었어요. 이 중 이미 몇몇은 외국에서 실제 만들어지고 있답니다.나만의 멜로디 카드 만들기상상노하우실에서는 금색 테이프와 동그란 전지,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기후를 연구하기 위해서 과학자들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해요. 빙하나, 산호를 사용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이런 자료는 한계가 있어요. 바로 지구 전체에서 자료를 찾을 수 없다는 거지요. 빙하는 지구 양쪽 끝인 극지방에서만, 따뜻한 바다에서 사는 산호는 적도 부근 열대 지역에서만 찾아 볼 수 ... ...
- [지식] 자유를 사랑한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 탄생 100주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체포된 뒤 연락이 두절된 사람들도 있었다. 그는 로랑-마리 셀리마르땡이라는 가명을 사용하며, 대학에서 근무했는데 다행히 전쟁이 끝날 때까지 발각되지 않았다. 이런 경험 때문에 그는 평생 전체주의(개인의 자유는 억압하고 지도자의 권위만 앞세우는)를 혐오했다. 슈와르츠는 한때 사회주의에 ... ...
- [생활] 사물과 대화하는 세상, 사물인터넷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컴퓨터와 연결해 어떤 능력을 높일 수는 있다. 이미 우리는 일상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이전까지는 불가능했던 일을 하고 있다. 버스를 놓친 후 다음 버스가 언제 올지 알 수 있다.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오면 소프트웨어가 순식간에 자동으로 인터넷을 검색하고 스팸 번호인지 아닌지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마침 누군가 문을 노크했다. 함께 연구 중인 이헌주 박사였다. “아주 잘 작동합니다. 사용 가능한 정도.” “우리 꺼?” “우리 꺼.” “대박인데? 오케이, 바로 찍어봐.” 최근 개발하고 있다는 맞춤 3D 프린터 얘기인 듯했다. 문 박사의 목소리에 더욱 힘이 실렸다. “종종 시각장애인 수업을 ... ...
이전467468469470471472473474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