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분석했다. 지카는 아프리카에서 처음 시작돼 아시아에서 일부 유전자 변이를 거친 뒤 중남미로 건너갔다. 따라서 중남미 지카는 아시아 혈통이다. 파올로 교수팀은 지카의 두 혈통 중 아시아 혈통만 대유행을 일으킨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조사 결과 아시아 혈통은 DNA를 번역하는 유전자 일부가 ... ...
- [수학뉴스] 백제 의자왕도 구구단을 외웠을까?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것으로 보아 관리들이 보던 구구단으로 추정됩니다.목간이 구구단표였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진 게 참 아쉽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문화재재단 이경식 팀장은 “적외선촬영을 해도 숫자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아 판별하기가 어려웠다”며, “이전에 구구단표가 발견된 적이 없어 구구단이라고 ...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0이면 230개의 숫자는 무작위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230개, 적어도 10억 개의 숫자가 나타난 뒤 반복되는 것이니, 난수로 쓸 만하지 않을까?이 알고리즘은 단점이 있지만 계산 속도가 충분히 빨라서 정교한 수준의 난수가 필요하지 않는 분야에서 많이 쓰인다. 현재 컴퓨터 프로그램에는 대부분 이 ... ...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실내가 아닌 야외에서는 가스가 대기 중에 퍼지기 쉬워 중독되기 어렵다.그로부터 며칠 뒤 아카쿠마에서 멀리 떨어진 도마테 온천 근처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일어난다. 미즈키 치사토와는 전혀 관련 없는 영화배우, 나스노 고로가 제작진을 만나기 위해 인적이 드문 야산에서 혼자 기다리다가 ... ...
- 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뉴질랜드 환경과학연구소의 과학자들은 살아 있는 돼지 5마리를 실험용 탁자에 올려놓은 뒤 총을 쏴 보는 실험을 했어요. 사람이 총에 맞았을 때 피가 어떻게 튀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였지요.이후 국제적인 학회지인 ‘법의학 저널’에 이 연구논문이 실렸고, 국제 동물보호단체 ‘페타(PETA)’는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충돌하지 않았다면 공룡과 인류가 정말 함께 살 수 있었을까요?또 소행성이 빗겨간 뒤 지구에는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요?6500만 년 전, 대체 무슨 일이?공룡을 멸종시킨 가장 큰 계기는 6500만 년전의 소행성 충돌이에요. 우주에서 날아온 지름 10km에 달하는 큰 암석 덩어리가 지구에 부딪히면서 공룡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생생한 새의 상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안을 살짝 들여다보는 거예요. 제비가 지금 살고 있는 둥지인지, 혹은 빈 둥지인지 알아본뒤 일주일에 1번이나 2번 정도 정기적으로 방문해 제비가 돌아왔는지, 혹은 알을 깠는지 확인해야 하지요.”어릴 때의 관심을 쭉 이어가 이제 조류 연구자의 길을 걷고 있는 정다미 소장과의 만남은 ... ...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최진희(서울시립대) 등 7명이 상위 1% 연구자에 이름을 올렸다. 화학 분야는 6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윤주영(이화여대)·장석복(KAIST)·김기문(포스텍)·김종승(고려대)·천진우(연세대)·현택환(서울대)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 또 수학 분야에서는 권오민(충북대)·강신민(경상대)·박주현(영남대) 등 ... ...
- [News & Issue] ‘인기 짱’이 나서면 왕따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나눠주거나, 해시태그를 퍼뜨리는 등 몇 차례의 메시지 캠페인을 진행했다.1년 뒤 학생들 사이의 갈등은 30%나 줄어들었다. 특히 인기 있는 학생이 많이 속한 팀에서 이런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났다. 펠럭 교수는 “학생들의 사회적 규범을 변화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영향력 있는 아이들이 스스로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2015년 12월 7일 오전 9시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위성관제실. 대형 스크린에 띄워진 예정 궤도선을 따라 금성 탐사선 ‘아카쓰키(曉· ... 아카쓰키 관측 자료 분석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유럽, 미국, 러시아는 아카쓰키의 뒤를 이을 차세대 금성 탐사 계획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 ...
이전467468469470471472473474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