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1메가 S램 양산체제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1메가S램은 4메가D램의 기술과 맞먹는다. 삼성은 지난해말 4메가D램 역시 월 10만개 규모로
국내
업체로는 처음으로 양산체제에 들어간 바 있다.삼성의 1메가S램은 C모스 공정기술을 채택했으며 다층배선기술을 이용해 정보처리속도를 70나노초(1나노초는 ${10}^{-9}$까지 향상시킨 점이 특징. 삼성은 ... ...
「486PC」
국내
첫등장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대우통신은 지난달 자사의 신제품발표회를 가지면서 모델명 '프로-6000'이란 486PC를
국내
에 선보였다.486PC란 미국 인텔사의 '80486'마이크로프로세서를 중앙처리장치(CPU)로 채택한 퍼스널컴퓨터로 가장 최신의 32비트 PC제품이다. 지난해 4월 인텔이 이 칩을 발표한 이후 미국 휴렛팩커드 등 세계적으로 ... ...
공사비 적게 들고 곡선주행 빠른 모노레일 항공전철의 가능성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항공전철은 전력계통을 제외하고는 별로 첨단기술도 아니어서 집중적으로 연구한다면
국내
기술로 자력건설이 가능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조규형교수팀은 올해안으로 실험실 수준에서 시속 1백㎞의 주행시험을 해볼 계획이다 ... ...
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반면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소의 인력이나 장비 예산은 보잘 것이 없다. 기업체 외에
국내
연구진을 보면 전자통신연구소 과학기술연구원 과학기술원 서울대 경북대에서 몇몇 기초적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을 뿐이다. 반도체산업의 기반이 되는 기초적인 연구들이 축적되려면 이들 연구소와 대학의 ... ...
생명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있다. 예컨대 소나 돼지의 성장호르몬, 인터페론 등 외국에서 성공된 바 있는 제품들이
국내
에서도 이미 성공되었다.1990년대는 우리나라에서도 보다 복잡한 생명현상인 세포분화와 관련된 유전자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등생물의 유전자 암유전자 AIDS바이러스유전자 ... ...
정밀화학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에 있는 한국화학연구소다.앞으로 90년대에
국내
에서 추진할 연구의 초점을 살펴 보자. 의약품 분야에서는 퀴놀론 경구용 베타락탐항생제 AIDS치료제 고혈압치료제 항암제 중추신경계 의약 등이 중점적으로 연구될 전망이다.또 농약분야에서는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8년 11월에는 '제1차 남극과학 국제학술대회'가 서울에서 열려 9개국에서 참가한 학자들과
국내
과학자 수십명이 모여 남극연구결과를 토의했다. 육상지질 지구물리 육상동물 해양지질 고층대기물리 등 남극과학의 여러 분야가 폭넓게 논의됐는데, 남극연구의 역사가 짧은 우리로서는 매우 유익한 ... ...
청소년 과학화에 앞장서는 과학기술진흥재단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과학신문 잡지 출판을 지원하고 있다.87년에 펴낸 '세계자연과학사대계'(전 20권)는
국내
에서는 보기 드물게 과학사를 본격적으로 다룬 방대한 저서라는 평을 얻고 있다. 이외에도 영세출판사에서 발간하기 힘든 '현대과학대사전'과 '첨단과학기술용어사전' 등 사전류도 편집해냈다. 진흥재단은 ... ...
프로그램저작권 침해 고발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미국 유명 소프트웨어업체 3개사가
국내
컴퓨터업체를 대상으로 저작권침해 고소를 제기, 그 처리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87년 10 ... 이들 2개사 뿐 아니라 대기업들도 무단복제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이번 고소의 파문은
국내
컴퓨터산업에 큰 여파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줄어들고 있는 현실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의 목소리는 한 옥타브 높아져 있었다."현재
국내
에서 절종위기에 있는 새는 53종입니다. 그중 국제적인 감시대상으로 등록된 새만도 19종이나 있어요. 특히 크낙새 노랑부리백로 황새 등은 잘 보호해야 해요."실제로 새의 보호는 시급한 숙제이다. 전 ... ...
이전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