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3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외 석학 참여한 기초과학연구원(IBS) 첫 평가 열기 ‘후끈’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현 단장은 균일한 나노입자를 저렴하고 손쉽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합성기술을 세계
최초
로 개발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평가위원들의 질문과 토론도 마찬가지였다. 논문 수나 저널의 임팩트팩터(IF)가 아닌 연구논문의 과학적 우수성과 연구자의 독창성, 잠재적 가능성, 국제협력 등을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 해독도 오픈소스 바람 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어렵다.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연구원들이 2010년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을
최초
로 해독했을 때 공개한 작업 모습. 수만 년 전 화석에 남은 소량의 DNA를 위해 가루 시료를 끌어내고 있다. 시료 추출 이후에는 차세대 염기서열 해독 기술로 전체 게놈을 복원한다. - 막스플랑크연구소 제공 ... ...
‘뇌 하수구’로 치매 해결책 찾나
과학동아
l
2017.11.16
연구를 이끈 대니얼 라이히 박사는 “림프관을 통해 뇌에서 노폐물을 버리는 현상을
최초
로 발견했다”면서 “특히 지금까지 의학계에는 뇌에 림프관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다발성 경화증이나 다른 ... ...
진도? 규모? 지진용어...얼마나 알고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그래서 헷갈리는 지진용어들을 모아봤다. 김진호 제공 ● 진원(seismic center)
최초
로 지진파가 발생한 지역을 가리킨다. 쉽게 말해 땅속에서 지진이 가장 먼저 시작된 곳이다. 위도와 경도, 지표로부터의 깊이로 진원을 표시하는데 진원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측정해 표준화한 뒤 그 정도를 ... ...
(상보) 포항에 역대 두 번째 강한 지진… 경주지진보다 진원 얕아 피해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시각은 지진 발생 후 26초 만인 오후 2시 29분 57초다. 경보 발표 시각 역시 포항관측소에서
최초
로 지진이 관측된 지 19초 만인 오후 2시 29분 53초였다. 조기경보 시스템이 먼저 전달되는 지진파의 P파를 분석해 파악한 지진의 규모는 5.5였지만, 3~5분 뒤 정밀 분석한 결과에선 규모 5.4로 확인됐다. ... ...
미래형 입체영상 산업 청신호… ‘광학렌즈’ 가공 원천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11.14
이하의 미세패턴을 가공할 수 있는 초정밀 광학렌즈용 절삭가공 원천기술 개발에 국내
최초
로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기존 렌즈가공 공정에서 레이저 또는 전자빔을 활용해 왔지만 렌즈 표면위의 미세한 곡면을 정밀하게 다듬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초정밀 광학렌즈는 최근 점점 크기가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마흔살 게놈 해독 기술의 숨가쁜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정확하게 DNA를 해독할 수 있는 1세대 DNA 해독 기술을 개발했다. 생어는 이 기법으로
최초
로 박테리아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의 게놈을 모두 읽는 데 성공했다. 이 성공은 곧바로 인간의 세포 안에 있는 핵 DNA 전체(게놈)를 모두 해독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여기에서 두 번째 혁신이 일어났다. 30억 ... ...
"한국 에이즈 증가, 메르스 창궐 등 감염병 안전지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20년에 걸친 백신 개발 계획을 세우는 데도 관여했다. 에이즈 백신 개발 가능성을
최초
로 제시한 임상시험을 주도하기도 했다. 그는 “20년 넘게 연구했지만 HIV에는 아직 효과적 백신이 없다”며 “남아프리카에서 진행 중인 후속 연구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아직도 ... ...
미세먼지로 가득 찬 거대 풍선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7.11.05
크며 활용 범위가 더 넓다”고 말했다. 실제 이 촉매 기술은 기업에 이전되어 세계
최초
로 대형 선박 엔진에 적용시켜 상용화하는 데까지 성공했다.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단은 과학과 기술, 정책 통합형 솔루션 제공에 집중하고 있다. 배귀남 단장은 “현재 미세먼지에 대한 걱정이 ... ...
세계
최초
동물 우주비행사 ‘라이카’ 60주기
동아사이언스
l
2017.11.03
개를 태운 채 지구를 17바퀴 돈 뒤 귀환했다. 이에 힘입어 인류는 이듬해 4월
최초
의 우주비행사를 탄생시켰다. 유리 가가린이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우주비행에 성공한 것이다. 개와 원숭이 위주이던 실험동물의 종류는 국제우주정거장이 건설된 이후엔 더 다양해졌다. 이들은 주로 무중력, 강한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