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날카로운 자아발견의 시기, 사춘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열정과 능력을 가진 학생을 원한다. 특히 입학사정관들은 이런 수학, 과학적 특기를 중
점
적으로 평가한다. 입학 후에도 수학, 과학 특기가 있어야 연구를 하기에 편하다. “그럼 이렇게 연구를 하려면 가장 중요한 덕목이 뭘까? 우선 지식이 있어야해. 근데 고등학교, 중학교 교과 안에서 배우는 건 ... ...
사영기하학, 파스칼의 육각형 탐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바꾸면 ‘원추곡선에 외접하는 육각형에서 세 쌍의 반대 꼭짓
점
을 연결하는 직선은 한
점
에서 만난다’는 브리앙송의 정리 또한 쌍대정리에 의해 참이 된다. 쌍대정리 때문에 사영기하학에서의 모든 정리는 쌍으로 나타난다. 이번에 소개할 포트폴리오는 사영기하학에서 육각형 외의 다른 다각형을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일상에서도 무수히 많은 우주를 만들고 있다는
점
이 다른 거대 다중우주 이론과 다른
점
이다.[시뮬레이션 다중우주는 수학이 곧 물리적 우주와 같다고 본다. 상상할 수 있는 어떤 물리법칙이 지배하는 우주라도 만들 수 있다.]특징 가능한 우주는 모두 존재할 수 있다테그마크 교수의 마지막 4단계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식이다. 문제는 광학현미경에서 관찰하던 시료를 전자현미경에서 그대로 볼 수 없다는
점
이다.광학현미경은 빛의 회절 현상 때문에 200nm 이하의 물체는 구분하기 힘들다. 반면에 전자현미경은 시료를 두껍게 만들면 전자가 투과하지 못해 관찰이 불가능하다. 결국 광학현미경으로 보던 시료를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의해 선박이 파괴돼 육지로 올라왔다.]
점점
비싸지는 선박, 안전성 확보는 필수다른 관
점
에서 이 문제를 생각해 보자. 한 척의 LNG-RV 건조 비용은 2억 5000만~3억 달러 정도다. 3000억 원이 넘는다. 만일 허리케인 카트리나를 견딜 수 없다면 소유주든 보험회사든 누군가 3000억 원을 물어내야 한다. 최근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없기 때문에 아미그달린이 독성분인 청산으로 바뀌지 않기 때문이죠.”김 교수는 이런
점
에 착안해 발효 한약을 개발했다. 즉 약효성분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인삼 같은 약재를 발효 미생물에 미리 처리해 우리 몸이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꾼다는 아이디어를 실현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약에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다중우주의 강
점
은 다양한 우주상수를 지닌 우주를 찾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이다. 이것은 끈이론을 통해 여분차원의 다양한 조건을 계산하면 다양한 진공에너지 밀도(우주상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얻은 우주상수들 중에 우리우주와 같은 우주상수도 있어야 한다.하지만 현재까지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웨타는 지구에서 가장 무거운 곤충의 하나다. 그러나 현재 멸종 위기로 서식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덩치 큰 현대 곤충은 대부분 풍뎅이류에 속한다. 타이탄풍뎅이(➊)와 골리앗풍뎅이(➋), 헤라클레스풍뎅이(➌) 의 모습.][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나방인 아틀라스나방(왼쪽)과 티사니아 ... ...
곤충의 몸도 뚫는 거미의 송곳니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외골격에서 주로 발견된다.재미있는 사실은 송곳니의 부위에 따라 강도가 달라진다는
점
이다. 끝부분이 반대 부분에 비해 거의 두 배 더 단단했다. 끝부분은 키틴이 적은 대신 아연과 염소 이온의 농도가 높았다. 아연 이온은 송곳니 안에 있는 단백질 간에 결합을 단단하게 하는 역할을 해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감압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가장 일반적인 생산 방식이다.그런데 감압법에는 큰 문제
점
이 하나 있다. 지층 사이에 있는 가스하이드레이트를 녹였을 때 지반이 약해져 붕괴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해저 통신케이블 및 구조물이 손상될 수 있으며 심하면 지진과 해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이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