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더미 같은 데이터에서 보물 캔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312개가 포함돼 있었다. 기존 어떤 방법으로도 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요인도 188개나
발견
됐다.연구팀의 파디스 사베티 하버드대 시스템생물학센터 교수는 “많은 데이터가 복잡한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성원경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정보기술연구실장은 “많은 양의 자료에서 ... ...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행성을 하나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 행성이 바로 ‘케플러-22b’이다. 이번
발견
을 계기로 지구와 유사한 생명체가 살고 있는 행성을 찾기 위한 인류의 도약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지 주목되고 있다. 생명체 서식권이란 행성이 항성과 적당한 거리를 유지해 행성 표면에 물이 액체로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알 수 있다.볼펜 공장을 떠올려보자. 상품화 전에 제품의 문제점을
발견
하면 이것을 수정하고, 문제점이 해결됐는지 다시 평가해야 한다. 그런데 평가할 때마다 실제 볼펜을 만들면 돈과 시간이 많이 든다. 볼펜과 똑같이 생긴 시제품을 직접 쥐고 버튼을 누르고 종이에 ...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해된다. 즉 천문학 지식이 어느 정도 있으면 1년의 길이를 구하려는 노력, 수성을
발견
하기 어려운 이유, 주인공을 천동설(지구중심설) 신봉자로 그릴 수밖에 없었던 점 등을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 기원전 3800년 무렵 사람이 알고 있는 지식을 현대인의 시각으로 체크해보는 것도 이 책의 또 ... ...
열차 기관사 '뿌잉 뿌잉 치치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주는 손난로도 액체가 고체로 변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한 발명품이에요.*여러분이
발견
한 ‘상태 전이’ 발명품은 무엇인가요?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썰렁홈즈 기사에 덧글로 달아 주세요. 추첨을 통해서 선물을 드립니다~!지난호 당첨자 : 박희주(bighyun)일러스트 : 김석도움 : 특허청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온도를 만들어 불을 붙이면 입으로 불을 내뿜을 수 있어. 하지만 지금까지 지구에서
발견
된 생물중에 불을 뿜는 동물은 단 하나도 없었단다.”밤하늘의 용 미리내용을 찾으려고 정신없이 돌아다니다 보니까 벌써 밤이 되어 버린 거 있지? 그런데 웬걸. 하늘을 보니 아름다운 은하수가 반짝반짝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훨씬 가까웠다. 2011년 6월 ‘사이언스’에는 아라비아 반도의 아랍에미리트 사막에서
발견
된 석기를 연구한 결과 5만 년 이른 약 11만 년 전에 이미 아라비아 반도로 진출했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1만 1000년 전 ~3 농업 현재 인류가 식량으로 이용하는 주요 작물 중 절반은 지금의 서남아시아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화성의 흙을 분석한 결과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염소 등을
발견
해 화성에서 식물을 기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 바 있다. 우리 먹거리를 책임진 과학자들은 화성 흙의 화학적 조성을 지구와 비슷하게 만드는 동시에 유전자 조작을 통해 낮은 중력에 적합한 작물을 ... ...
인공눈, 누가 만들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입히는 세균인 ‘슈도모나스 시링가이(Pseudomonas syringae )’가 눈을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이 세균은 세포벽에 물을 끌어 모으는 특이한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날씨가 추워지면 단백질에 모인 물방울이 얼어붙어 작은 얼음 알갱이가 된다. 연구 결과는 1976년 ‘네이처’에 실렸다.슈도모나스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메주를 두툼하게 빚는 거죠. 특히 1차 발효가 충분히 일어납니다. 이 지역 메주에서 많이
발견
되는 곰팡이는 1차 발효를 시키는 것들입니다. 경기도메주는 강원도메주보다는 두툼하고 전라도메주보다는 얇아요. 기후가 따뜻하니까요. 1차 발효와 2차 발효가 모두 일어나 곰팡이도 고루고루 자랍니다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