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특허받은 동물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강한 면모를 보여주는 가축도 마찬가지로 농장주들이 환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고
능력
을 지닌 형질변환가축의 수요는 상상할 수도 없을 정도로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둘째로 의약품 생산가축도 특허대상이다. 사람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생리활성물질의 대량생산을 위한 형질변환동물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1도까지 정확한 각도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하며, 천체의 움직임을 정확히 추적할 수 있는
능력
을 보유해야 한다. 현재 대덕전파망원경은 구경 14m 망원경의 가장자리가 0.05mm 움직인 것까지 감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는 마치 일기도의 고기압 저기압과 같이 전파의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보다 (컴퓨터그래픽 기술상 매우 어렵다) 실제 인간과 만났을 때 적절히 반응하는
능력
을 부여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포도당 바이오센서 갖춘 변기당뇨병 발병 가능성 예고일본의 이낙스사(社)는 올 초부터 혈당검사용 바이오센서를 내장한 변기를 개발중이다. 이 변기는 앞으로 노인병센터와 같은 ... ...
② 거인의 눈으로 천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수치상으로만 따지면 옛소련의 체렌추크스카천문대의 6m망원경이 있지만 충분한
능력
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팔로마산 천문대 것을 최고로 한다.광학망원경은 지름이 늘어남에 따라 관측 영역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그러나 지름 5m 이상이 넘게 되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우선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상당히 어렵데요. 저에게는 외도라고 할 수 있을텐데··· 더군다나 시기도 어려웠고
능력
도 뛰어나지 않아 마음고생을 많이 합니다. 지금까지는 수습과정을 밟는 심정으로 업무 파악에 주력했습니다."-천문대가 무슨 일을 하는지 일반 국민들은 잘 모르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천문대의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행성 지구는 조금씩 자정
능력
을 잃어가고 있다. 이를 방지하고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
을 갖게 하는 것이 바로 '지구를 지키는 일'이다. 대전 엑스포의 쌍용 지구관은 바로 이러한 시대적 소명에 부응하는 주세를 구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인간과 동물의 조화높이 30m짜리 기하학적 형태의 ... ...
컴퓨터의사는 명의인가, 돌팔이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둔 것이므로 어느 정도의 오차는 불가피한데 일반인들은 이 오차를 상황에 맞게 수정할
능력
이 없으므로 오차를 그냥 감수할 수 밖에는 없다.무엇보다도 현재 우리의 수준이 개발 초기단계라는 사실이 큰 한계점이다. 이것은 아직 대규모의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는 여건이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할지언정 자신들에게 새로운 학문의 조류를 받아들인 뒤 그것을 소화해 전달해줄
능력
은 없는 것으로 비춰졌다. 이것이 나중에 부르바키그룹의 정년을 50세로 정해놓게 된 이유가 되었다.그들은 당시의 수학이 수학자들조차도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분화되고, 또 그 목적이나 방법에 있어서도 ... ...
스리랑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좋은 흑연과 사파이어 루비 등 여러 종류의 보석이 생산된다. 수자원은 풍부하지만 자급
능력
을 갖추지 못해 수산업이 뒤지고 있다.금은빛으로 반짝이는 모래밭을 1천5백km나 가지고 있는 스리랑카는 '동양의 진주'라는 말을 들을 만큼 경치가 아름답다. 눈이 시리도록 파란 바다와 푸른 하늘, 울창한 ... ...
① 말은 동물의 소리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태어나면서 인간의 뇌에 들어 있는 문장에 관한 지식을 언어
능력
이라고 본다. 이에 대해서 실제로 말을 하고 이해하는 것을 언어수행이라고 함은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다.언어는 무질서한 집합체가 아니다일반적으로 '체계'란 알기 쉽게 말한다면, 일정한 원리에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