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시
같은시기
동기
d라이브러리
"
같은시간
"(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오감으로 관람하는 체험형 과학전시회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교과서나 참고서에 실린‘죽은 지식’이 아니라 ‘살아 있는 지식’을 만날 수 있는 체험형 과학전시회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21세기생명과학문화재단(이사장 정구민 박사)이 준비한 ‘빛과 소리’ 특별전과 ‘청소년 성장 특별전’은 온 가족이 함께 관람할 수 있는 전시회로 모든 전시물은 ... ...
세포의 꿈틀거림까지 영상에 담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지난해 동영상 기능이 탑재된 디지털일안반사식카메라(DSLR)가 등장하면서 DSLR의 표준이 바뀌고 있다. 올해 출시된 웬만한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동영상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스틸 사진만 찍을 수 있는 카메라는 이제‘구식’이 된 셈이다. 이와 비슷한 현상이 생명과학 분야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 ...
Part 1. χ가 없던 시절에는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내가 태어나기 전 사람들은 수학 문제를 어떻게 풀었을까. 세계 곳곳의 기록을 살펴보면 다양한 수학 문제를 푸는 방법들이 남아 있어. 몇 가지만 살펴보기로 해.3600년 전 세계 최초의 수학자인 이집트의 아메스는 파피루스에 신기한 수학 기록을 많이 남겼어. 알 수 없는 표현들이라 기록 전체가 무 ... ...
생활 곳곳에 자리잡은 χ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지금까지 수학이나 과학에서 미스터리 x님의 활약을 지켜봤을 거야. 그렇다고 x를 학교에서만 볼 수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야. 일상생활에서도 x는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어.전국 어디든 안전하게 길을 안내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이 대표적인 경우야. 내비게이션은 위성을 이용해 지구상의 ... ...
2. 재료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아끼면 잘 산다." 일부러 외치지 않아도 생활 속 많은 물건 속엔 이 문구가 녹아 있답니다. 물건에 숨어있는 절약의 비법을 알려드릴 게요.A4 용지의 비밀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는 종이는 A4용지랍니다. 학교에서 집으로 보내는 통지문이나 정부와 기업의 공문도 A4 용지를 쓰고 있어요. 자를 들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6000명. 미국에서 이식받을 장기가 부족해 매년 사망하는 사람의 수다. 1만 8000명. 한국에서 장기이식을 기다리고 있는 환자의 수다.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대안은 다름 아닌 이종(異種)장기이식(xenotransplantation)이다.‘인간 이외의 동물에서 유래된 세포, 조직, 장기를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여기가 어디냐면, 사거리에서 우회전해서… 아이고, 설명하자니 복잡하네. 차로 움직이지? 야, 그냥 내비 찍고 와!”이제 ‘내비 찍고’ 다니는 게 자연스런 일상이 됐다. 위성항법장치(GPS)로 차량의 위치를 지도에 자동으로 표시해주는 내비게이션(차량항법장치)을 장착하지 않은 차를 보기 드물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검색해 내려받고 다른 사람과 대용량의 정보를 빠르게 공유하는 유비쿼터스 정보통신 사회. 최근 전 세계에는 유비쿼터스 통신 환경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빠르게 일고 있다. 유비쿼터스 사회를 구현하려면 지금보다 수백 배 더 빠르게 정보를 처리할 수있는 컴퓨터 ... ...
언제 어디서나 재잘재잘 twitter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트위터라…. 이거 참 희한하네.’최근 친구의 권유로 트위터(twitter.com)에 가입한 이지현(29·회사원) 씨는 그 독특한 매력에서 눈길을 뗄 수 없었다. 트위터 사이트를 통해 다른 가입자와 140자 내외의 글을 나누는 구조로 인해 수다를 떠는 듯한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 씨는 “김연아 선수나 이외 ... ...
어렵고 재미없는 과학실험은 가라!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올해 3월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고등학생 가운데 이공계로 진학하겠다고 답한 학생은 4명 중 1명에 불과했다. 그들은 과학에 관심없는 이유로 “재미가 없어서(31.5%)”와 “어려워서(30.3%)”를 꼽았다. 여전히 학생들의 눈에 비친 과학은 어렵고 재미없는 과목이다.과학이 정말 어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