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스페셜
"
조절
"(으)로 총 9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상도 100배 높은 차세대 QLED 프린팅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매 성분을 미세하게
조절
해 수 나노미터에서 수천 나노미터급 주형에 선택적으로 스스로 조립하는 원리에 주목해 공정에 적용했다. 조립된 퀀텀닷 미세 패턴을 분리한 뒤 초저압 방식으로 프린팅하는 기술을 개발, 풀 컬러 ... ...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07.04
인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Q. 코로나19 극복에도 면역반응
조절
이 중요하다는 뜻인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숙주세포의 ‘포털(portal)’ 역할을 하는 ACE2 수용체에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결합부위(RBD)가 결합하며 숙주세포 안으로 침투한다. 따라서 ... ...
코로나19 중증 환자 폐 이식 국내 최초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면밀하게 파악하고 급성거부반응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면역억제제 농도를
조절
하고 재활운동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형수 한림대 성심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코로나19 환자 중 국내에서 최고의 중증치료 사례였으며 환자의 폐를 떼어낼 때 건강한 폐와 다르게 크기도 작게 수축 ... ...
"뷔페에선 마스크 착용해야" 음식점 유형별 방역수칙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사용하거나 비닐 장갑을 써야 한다. 식당 종사자들은 예약제를 통해 이용자 수를
조절
하고, 다중이 모이는 행사는 개최를 자제해야 한다. 중대본은 특히 뷔페를 방문판매업, 일시수용인원 300인 이상의 대형학원, 유통물류센터 등과 함께 추가로 ‘고위험시설’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출입시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 한번에 쥐의 파킨슨 병 완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7
24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의 발견은 우연히 이뤄졌다. 연구팀은 세포의 RNA를
조절
하는 단백질의 양을 바꿔가며 변화를 살피는 연구를 해 왔다. 그러던 중 신체 조직을 연결하는 세포인 섬유아세포에서 RNA 결합 단백질 중 하나인 PTBP1 단백질을 제거하는 실험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 ...
"코로나19 감염된 아동·청소년 대부분 경증"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34일간 의료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또 항바이러스 또는 면역
조절
치료가 요구되는 환자는 거의 없었다고 밝혔다. 아동·청소년을 위한 치료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임상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봤다. 연구 기간 동안 사망한 환자는 582명 중 4명으로 모두 10세 이상이었다. ... ...
비만과 치매 논란 종언? 50대 이상 31% 높아져
연합뉴스
l
2020.06.24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는 걸 보여주는 새로운 증거"라면서 "성인기 내내 적절한 음식
조절
과 신체활동 등을 통해 체중을 이상적인 수준까지 줄이는 게 좋다"라고 제안했다. ... ...
[인간·공감·AI]④ 눈에 안 띄는 교통 표지판 AI로 퇴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게 목적인 ‘작업중심 AI’를 채택했다”며 “이 기준에 맞춰 차선을 변경하거나 속도를
조절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HCI와 AI가 만나면 달라진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탑승한 사람이 책을 보거나 음식을 먹는다면, AI가 이 상황을 인지하고 탑승객을 배려해 차선 변경을 자제하는 의사결정을 ... ...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홍보해놓고 실험시설 부족 방치하고 추경도 잘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2개의 후보물질만 동시에 실험이 가능하다. 하지만 실험 날짜와 실험동물 수 등을
조절
해 케이지를 최대한 활용할 경우 한 달에 3개의 후보물질을 실험할 수 있다. 18일 과기정통부가 한 달에 3개의 후보물질 실험을 지원한다는 홍보한 것도 이 같은 계산에서 나왔다. 일각에서는 자체 개발해 확보한 ... ...
업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어디까지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연구팀은 최근 황화물의 특정 원소 농도를 극과 닿는 부분에서부터 점차 떨어지도록
조절
해 이온이 빠르게 지나가는 소재를 개발했다고 소개했다. 가장 앞선 일본의 황화물 소재와 동등한 수준의 이온전도도를 가지면서 유해가스는 덜 배출하는 특징이 있다. 김 책임연구원 연구팀도 특정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