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얘기"(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2018.09.01
- 나에게는 큰 변화였고 두려운 시간들이었다. 타인에게 네가 하는 것이 참 쉬워 보인다고 얘기하는 것이 실례인 것처럼 나에게도 이렇게 쉬운 걸 못하냐고 질타하는 것 역시 실례일 것이다. 뭐 하나 쉬운 게 하나 없다는 작은 진리가 때로 서로에게 해방감을 가져다 주는 이유다. Kardas, M., & O’Brien, E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2018.08.28
- 그에 따른 당뇨병과 심장병, 암 등 각종 대사질환이 생긴다는 것이다. 사실 익숙한 얘기인데 그럼에도 책 곳곳에서 생각해보지 않았던 측면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비만도의 지표인 체질량지수(BMI)를 비판하는 내용이다. BMI가 문제가 있다는 건 잘 알려져 있지만 필자는 주로 근육과 지방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2018.08.07
- 이산화탄소를 내보내고(날숨) 쓰는 산소를 공급하는(들숨) 일이다. 그리고 앞에서 얘기했듯이 갈색지방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는 두 번째 단계인 산화적 인산화반응 대신 열생성이 일어난다. 아무튼 숙신산은 세포호흡의 TCA 회로를 이루는 한 성분(중간물질)일 뿐 우리 몸에서 별다른 역할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늘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2018.08.05
- 요구 또는 부탁이 가진 힘과 거절의 어려움을 얕보지 말아야 한다고 언급했다. 다르게 얘기하면 별 거 아닌 나의 코멘트, 평가, 부탁 등등이 타인에게 내가 생각하는 것 이상의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기도 하다. 나 역시 누군가에게 무리하거나 잘못된 요구를 하고 있지는 않은지 항상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2018.07.31
- 후각이 둔감해지는 게 신경퇴행성질환의 전조라는 게 알려져 있지만 이건 다른 얘기다. 즉 냄새를 맡는 것과 관련된 후각상피가 아니라 뇌세포에서 발현이 변한다. 예를 들어 대뇌피질과 흑질(Substantia nigra) 세포에서 발현하는 후각수용체 유전자 가운데 OR2L13을 비롯해 다섯 가지의 발현량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 우습기도 하고 때로는 코끝이 찡하기도 하다. 저자와 숨바꼭질을 하는 앨리스라는 소 얘기다. “가끔은 앨리스가 장난을 시작해 내 옆에서 천천히 걷다가 갑자기 속도를 높여 달려나가 보이지 않는 곳으로 사라지기도 했다. 내가 다른 젖소와 같이 계속 느릿느릿 걸어 몇백 미터쯤 따라가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자폐 유전자의 양성선택 놀랍게도 유전학과 뇌과학 연구는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얘기하고 있다. 즉 대인관계가 서툴러 사회성이 많이 부족한 경우를 ‘자폐 성향’이라고 부르는데, 과학이나 예술에 천재적인 소질을 타고난 사람들이 그런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똑같이 먹고 공부하고 운동해도 각자 게놈이 다르기 때문에 수면패턴이 똑같지는 않다는 얘기다. 또 일란성 쌍둥이라도 생활습관이 전혀 다르면 수면패턴도 달라지기 마련이다. 우리가 하루 주기로 잠이 들고 깨는 건 두 가지 요소가 작용한 결과다. 먼저 생체리듬으로 지구 자전에 맞춰 하루 2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에너지를 더 많이 쓰는 신피질이 더 가파르게 늘어나므로 에너지가 더 들어간다는 얘기가 된다. 결국 뇌가 아주 작은 사람은 뇌의 에너지 소모량이 전체 에너지의 15% 수준인 반면 뇌가 아주 큰 사람은 30%에 가까울 수도 있다는 말이다. 뇌가 아주 큰 사람은 에너지 소모량도 늘어나기 마련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effect)’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즉 대중매체에서 밀가루 음식이 몸에 안 좋다는 얘기를 반복해서 듣다 보니 걱정이 커져 결국 다양한 생리적 증상으로 나타나 환자가 급증했다는 것이다. 물론 셀리악병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 논리에 따르면 글루텐 프리 음식을 먹어서 효과를 본 것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