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절
절기
시즌
어린시절
어린
철
철강
뉴스
"
시절
"(으)로 총 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지막 티켓 2장을 잡아라…AI대학원 설립 총력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구글의 ‘알파고’가 등장하기 전이었고, 텐서플로(구글의 오픈소스 AI 플랫폼)도 없던
시절
이어서 직접 알고리즘을 짰다”고 회상했다. 이렇게 완성한 연구는 당시 MIT 테크놀로지리뷰에 실리며 주목받았다. 진 교수는 2016년 유럽연합(EU)의 마리퀴리 장학생에 선발돼 장학금을 받고 3년간 스위스 ... ...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
2021.03.07
즉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집단 간 편견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정말 가능할까? 어린
시절
부터 민초 아이스크림을 점심시간에 제공하면 반민초파를 일소할 수는 있겠지만, 분명 하와이안 피자에 대한 양극화가 나타날 것이다. 아니면 걸리버 여행기처럼 계란 깨는 방법을 기준으로 세상이 나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생물학으로 연구의 폭을 넓혔다. 하루 24시간 주기는 지구의 자전에서 비롯되므로 어린
시절
천문학에 대한 열정이 되살아난 셈이다. 2006년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로 자리를 옮긴 사소네-코르시 교수는 2011년 후성유전학 및 대사 센터를 세워 시간생물학의 지평을 넓혔다. 몸이 지구 자전에 ... ...
[102주년 3.1절]독립운동에 참여한 그
시절
과학계 인사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1
김용관 “우리의 모든 생활방법을 과학으로 개선하자! 일체 문화운동의 기초를 과학으로 쌓아 올리자! 다같이 손잡고 과학조선을 건설하기 위하여 분기하자.” 지난 1934년 일제 치하 당시 경성(서울)에서 조직된 과학지식보급회 창립 발기문의 한 구절이다. 독립을 위해 민족의 과학 역량을 키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계는 '공정한 차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까
2021.02.25
롤스의 정의론을 소재로 만든 EBS 다큐 https://youtu.be/C-R-05aopSk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
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 ...
결과 먼저 내놓고 투표한 모양새된 KAIST 이사회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구체적으로 어떤 후보를 미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노무현 정부
시절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을 지낸 김우식 KAIST 이사장은 이에 대해 “내정은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며 선을 그었다. 김 이사장은 이사회 투표 전에 이미 이 명예교수의 차기 총장 선임이 기정사실화된 ... ...
KAIST 17대 총장에 이광형 명예교수…이사회 개최전 선임 발표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산업 초빙 석좌교수로 재직했다. 전산학과 교수
시절
넥슨 창업자인 김정주 NXC 대표,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등을 배출해 KAIST 벤처 창업 대부라고도 불린다. 이 신임 총장은 평소 학문 간 융합을 강조해왔다. 바이오와 정보통신기술(ICT) ... ...
[기자의 눈]KAIST, 인류 삶에 공헌하는 다음 50년을 기대하며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쏟아졌다. 이 외골격 로봇은 공경철 KAIST기계공학과 교수가 앞서 서강대 교수 재직
시절
개발한 것이다. 공 교수는 2019년 서강대에서 KAIST로 자리를 옮겼다. KAIST에서 로봇을 개발하고 연구한 것은 2년여에 불과하다. 김 이사장의 설명처럼 KAIST의 기술로 국민께 희망을 심어줬다고 하기엔 KAIST에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목표 상실한 해상풍력 5대 강국의 꿈
2021.02.17
정도다. 정부가 제공해주는 시멘트와 슬레이트로 농로를 만들고, 초가지붕을 개량하던
시절
은 오래 전에 끝났다. 해상풍력이 지역경제에 대한 기여는 지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고도의 첨단 소재와 기술로 만들어야 하는 100m가 넘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와 블레이드 제작은 물론이고 설치에도 ... ...
50살 맞은 KAIST...혁신과 산업 발전의 ‘담대한 발걸음’
2021.02.15
970년대 한국과학원(KAIS)
시절
홍릉캠퍼스의 모습이다. KAIST 제공 50년 전인 1971년 2월 16일 서울 홍릉 연구개발단지에서 국내 최초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원인 ‘한국과학원(KAIS)’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KAIST가 16일 개교 50주년을 맞는다. KAIST는 지난 50년간 1만4418명의 박사를 포함해 총 6만9388명의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