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본
대본
영화각본
콘티
영화 각본
scenario
영화
뉴스
"
시나리오
"(으)로 총 72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리아 스페이스포럼]“로봇 덕후출신 과학자, 고장없는 탐사 로버 만드는게 꿈"
동아사이언스
l
2019.07.20
않는 완벽한 탐사 로봇을 완성하고 싶다”며 “하지만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
도 함께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또 한국건설연구원에 달의 토양과 중력 등의 환경을 구현한 테스트 마련해 검증을 통해 최대한 완성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이 연구원은 ... ...
[프리미엄리포트]빅뱅으로 시작한 우주, 종말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07.13
‘프리드만 방정식’을 사용해 그 과정과 결과를 예측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시나리오
대로라면 우주가 팽창하면서 암흑에너지가 증가하고, 암흑에너지의 힘이 커지면서 우주가 더 팽창한다. 우주의 종말에 다다라서는 우주의 모든 것이 순식간에 찢길 정도의 속도로 팽창하게 되는데, 이를 ... ...
파리협약 지켜도 북극 빙하 사라질 확률 28%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모형에 적용했다. 여기에 학계의 온실기체 배출
시나리오
중 가장 높은 배출량을 가정한
시나리오
를 입력했다. 그 결과 산업혁명 이전 대비 전 지구의 지표 기온상승이 1.5도에 이르면 9월에 북극 빙하가 완전히 녹을 확률은 최소 6%였다. 북극 빙하는 9월에 가장 많이 녹기 때문에 9월 북극 빙하 면적은 ... ...
한국물리학회 ‘플라스마물리학 신진과학자상’에 유민구 씨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방법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 등 미래 핵융합장치의 초기 시동
시나리오
를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데 큰 파급력을 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유 연구원은 “앞으로 국내 플라스마 분야 연구를 세계적 수준으로 이끌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 ...
태양질량보다 1만 배 무거운 블랙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시나리오
와 질량이 태양의 1만 배 가량 되는 가스구름에서 시작된다는 ‘무거운 씨앗’
시나리오
다. 만약 무거운 씨앗 모형이 맞다면 이 블랙홀은 우주 초기에 태양질량의 1만 배로 형성된 후 거의 변하지 않은 원시 블랙홀인 셈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왜소은하의 진화과정 연구를 ... ...
이번엔 라돈 '의료기기'…원안위·식약처 수거 명령
동아사이언스
l
2019.06.05
같은 기준으로 의료기기도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안위는 조사모델 중 평가
시나리오
에 따른 피폭선량이 높은 제품은 선별해 실제 사용자의 사용방식과 시간, 수면습관 등을 토대로 개인 피폭선량 평가도 진행하기로 했다. 원안위는 소비자 건강과 궁금증 및 불안 해소를 위해 원자력의학원 ... ...
10년 잠잠하던 백두산, 다시 지진활동 고개…北 과학계"면밀히 감시中"
2019.05.30
995년 뉴질랜드, 2010년 아이슬란드에서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며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
라고 강조했다. 영국 연구진은 천지의 물이 분화에 의한 충격으로 넘쳐 산기슭을 덮칠 경우에도 큰 홍수가 생길 가능성도 제기했다. 천지 주변에는 중국으로 향하는 계곡도 있어 북한뿐만 아니라 중국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지구온난화가 영구동토 붕괴 부른다
2019.05.28
깨어나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이산화탄소나 메탄 같은 온실가스가 방출된다는
시나리오
다. 이에 따르면 앞으로 300년 동안 영구동토에서 약 2000억t의 온실가스(이산화탄소로 환산)가 방출될 전망이다. 사실 이 모형이 맞더라도 시간이 좀 더 걸릴 뿐 땅속에 묻혀있는 엄청난 유기물이 온실가스로 ... ...
[Science토크] 우주를 향한 ‘골드러시’…과학자들 “태양계를 국립공원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9.05.25
기후변화와 같은 위기에 대한 전지구적인 대응 속도를 감안해 볼 때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
”라며 “지구와 가까운 소행성 벨트에 있는 철의 8분의 1만 해도 지구에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철광석보다 100만배가 넘을 것으로 분석되는데 이는 수세기 동안 인류가 쓸만큼 충분한 양”이라고 밝혔다. ... ...
때이른 불청객 '폭염'…"올 여름도 평년보다 더워"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전망이다. 기상청은 현재 추세대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를 가정한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
를 통해 분석한 결과 현재 5월 말에서 6월 초인 여름 시작 일시는 점차 빨라져 21세기 후반인 2071년 이후에는 5월 5일 이전으로 빨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여름의 길이도 현재 서울이 약 124일인데 반해 202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