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8노벨상] 노벨상 근접 한국 학자 13명…올해 노벨상 3대 관전 포인트는?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목적의 기술 발명도 노벨상의 업적이 될 수 있다. 2014년 노벨 물리학상은 파란빛을 내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개발한 3명의 일본 과학자에게 돌아갔는데, 당시 수상자 중 1명인 나카무라 슈지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주요 업적을 연구할 당시 일본 LED 기업인 니치아의 연구원 ... ...
물만 만나면 약해지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해결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7
조건에서 페로브스카이트를 사용할 가능성을 열었다”며 “태양전지 뿐아니라
발광
다이오드(LED), 강유전체소재 등 새로운 산업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화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ACS 에너지’에 8월 13일자에 소개됐다. ... ...
진짜 총천연색 TV 개발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1
이용하면 색의 순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다만 페로브스카이트는 현재 상용화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의 고성능 디스플레이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빛 추출효율이 낮고, 수분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특성이 있어서 상업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연구진은 자체적으로 ‘자기유화중합법’이라는 ... ...
초고해상도 OLED 제작기술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점검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대표하는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한층 더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용액공정이 아닌 진공 중 유기물질을 융해 증발시켜 접착시키는 ‘진공 증착 공정’을 이용, 유기물질로 ... ...
더 안전하고 더 선명한 X선 사진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영상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는 최근 차세대 태양전지 및
발광
다이오드(LED)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X선은 의료분야의 진단이나 산업 분야의 비파괴 검사, 결정구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인다. 그러나 방사성 물질을 이용해야 하므로 이 ... ...
[이강운의 곤충記] 반짝임 뒤에 숨겨진 반딧불이의 힘
2018.08.22
때 빛을 내는데 이 빛이 알을 방어하는 무기가 되었다. (왼쪽) 운문산반딧불이 알의
발광
- 오흥식 박사 제공 / 늦반딧불이 알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포투리스(Photuris)속의 암컷 반딧불이는 사냥감인 포티누스(Photinus)속(屬) 암컷의 짝짓기 신호를 흉내낸다. 먹이를 유인하고자 포식자가 ... ...
휴대용 전자기기 옷처럼 입고 다니는 시기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18.08.13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연구가 속속 성과를 내고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은
발광
다이오드(LED)와 빛 감지 센서까지 갖춘 반도체 기기를 섬유 형태로 구현하는 데 처음 성공해 학술지 ‘네이처’ 8일자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이 섬유형 전자기기를 가공해 마음대로 구부리고 심지어 물에 ... ...
네이처 ‘동아시아 스타 과학자 10인’에 IBS 김진수·김빛내리 단장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8.06.28
의해 발병한다는 사실을 밝힌 말릭 페이리스 홍콩대 교수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s)를 개발한 비비안 얌 홍콩대 교수를 스타 과학자로 선정했다. 대만에서는 △실내 위해요소에 대한 건강 영향 평가로 태국의 환경정책에 변화를 이끌어낸 휴이젠 수 아카데미아시니카 교수 ... ...
배터리 필요 없는 ‘스마트 장난감’
과학동아
l
2018.06.22
치는 장난감(SCT-TENG)’이다. 각각 260V와 65V의 전기를 만들 수 있는데, 장난감에 달린
발광
다이오드(LED) 표시등을 충분히 켤 수 있는 수준이다. 김 교수는 “스마트 장난감은 실시간으로 자가 충전할 수 있다”며 “장난감뿐 아니라 의료기기나 웨어러블 전자기기 등에도 적용할 방법을 찾을 ... ...
나노 신소재 ‘그래핀’ 활용… 투명 디스플레이에 한발 더
동아사이언스
l
2018.05.28
성질(전기 전도도)을 높이고, 이를 이용해 적은 전기로도 밝은 빛을 내는 효율 높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3일자에 발표됐다. 탄소가 벌집 모양의 육각형 그물 구조를 이루는 그래핀은 전기가 흐르기는 하지만 그 성능이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