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맞대면
면접
대결
직면
조우
대질
면회
뉴스
"
대면
"(으)로 총 612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약품 부작용 유발하는 분자 ‘카이랄성’ 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형성하는 200~300나노미터(nm·10억분의 1미터)의 나선 주기를 갖는 나선형 나노 구조체를
대면
적에서 배향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빛을 반사하는 광결정을 제작했다. 연구팀은 제작한 광결정의 분자를 제어하고 응용하기 위해 빛에 의해 분자의 모양 및 배향이 바뀌는 현상인 ... ...
태양전지 효율 이론 한계 뛰어넘을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화합물 중에서 광변환 효율이 좋은 몰리브덴디텔루라이드와 텅스텐디셀레나이드를
대면
적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전자의 움직임을 펨토초(1000조분의 1초) 단위로 분석하는 초고속 분광법을 이용해 순식간에 발생하는 캐리어 증폭 현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했다. 아주 짧게 지속하는 ... ...
달 궤도선 NASA측 제안 긍정적 검토…기술적 어려움 극복이 과제
동아사이언스
l
2019.11.25
말해 NASA와 이 문제를 협의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문제는 NASA가 한 달 뒤인 10월
대면
회의에서 새로운 경로를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NASA는 궤도선이 임무궤도에 진입하는 경로를 수정하면 연료를 절약해 임무 시 활용할 연료가 늘어날 수 있다며 새로운 ‘WSB(Weak Stability Boundary) 전이궤적’을 ... ...
달탐사계획 또 변경 가능성…과기부 "NASA와 궤도변경 협의 중"
연합뉴스
l
2019.11.25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우려한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10월 열린 항우연과 NASA의
대면
회의에서, NASA는 현 설계를 유지하는 범위에서 전이궤도 변경을 통한 연료 절감 방안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현실성 있는 궤적을 항우연에 제공하겠지만 세부 설계와 해석은 항우연이 주도해야 한다'는 게 ... ...
가상현실 구현하는 고해상도 OLED,
대면
적 유리 기판에 올려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8
빛을 흡수해 열로 전환하는 광열변환층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대면
적 유리 기판에 VR·AR용 고해상도 OLED 디스플레이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화면 시야각도 넓혀 몰입감을 높이는 동시에 어지럼증도 해소할 수 있다. 조관현 박사는 “기존에 수행했던 ... ...
최기영 과기부 장관 “IBS 문제는 일종의 부작용. 달탐사 NASA와 협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1.18
NASA가 기술
대면
회의를 진행한 뒤 11월에도 궤도선 운영궤도 변경과 관련한 기술
대면
회의가 예정돼 있다”며 “연구자 간의 다양한 의견이 자유롭게 개진되고 연구자 의견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장관은 IBS를 둘러싼 갈등에 대해 “IBS에 문제가 ... ...
"휘고 구기고 빨아도 오케이" 투명 전자소자 대량 생산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한국기계연구원 인쇄전자연구실 선임연구팀이 개발한 초고속
대면
적 광원으로 투명 전극 기반의 유연 OLED 조명을 만들었다. 휘고 감고 구기고 심지어 세탁을 10ㅎ0회 반복해도 성능 저하가 없었다.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팀이 잘 휘고 늘어나는 전자소자를 쉽고 경제적으로 제작하는 기술을 ... ...
첨가물 바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내구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전하 전달 소재를 개발했다”며 “UNIST 창업기업인 프론티어에너지솔루션과 함께
대면
적 모듈 기술을 접목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삼성도 반했다, 계산 속도 빠르고 소비전력 낮은 ‘다진법 반도체’
동아사이언스
l
2019.10.28
교수는 3진법으로 구동하는 상보성금속산화막반도체(CMOS·시모스)를 개발해 세계 최초로
대면
적 실리콘 웨이퍼에서 구현하는 데 성공해 7월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발표했다. 김 교수 팀은 반도체 집적화를 방해하는 ‘골칫덩이’인 누설전류를 이용해 3진법을 구현하는 역발상을 했다. ... ...
반도체에 사용되는 나노 패턴,
대면
적 제조 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김소연(오른쪽)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블록 공중합체의 박막 내 흡착층을 조절해 복잡한 나노 패턴을
대면
적으로 제조하는 ... 발표됐다. 자기조립된 공중합체 흡착층이 변화함에 따라 얻어지는 다양한 복잡한
대면
적 나노 패턴이 형성된다. UNIST 제공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