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질
불치
뉴스
"
난치
"(으)로 총 594건 검색되었습니다.
“혈액암 환자에게 조혈모세포 기증하세요”…캠페인 나선 동갑내기 대학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7
시작했다. 조혈모세포는 혈액을 구성하는 성분을 만드는 줄기세포로, 백혈병 등
난치
성 혈액암 환자의 치료에 꼭 필요하다. 이 씨는 “기증 서약을 위해서는 샘플로 소량의 혈액을 뽑아야 하는데 15명 이상 모이면 기관에서 출장을 와 간편하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안내 포스터를 만들어 ... ...
면역세포, 암 도와 병 악화시키기도
동아사이언스
l
2017.12.15
이 성질을 거꾸로 이용해 자신을 보호하기 때문이다. 올해 7월 남도현 삼성서울병원
난치
암연구사업단 교수팀은 암세포가 자라는 데 면역세포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암 분야 국제학술지 ‘캔서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종양이 자랄 때 종양 주변에 면역세포 중 하나인 대식세포가 활발하게 ... ...
흡연이 대장질환 유발?
과학동아
l
2017.12.11
“그 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흡연과 대장염의 관련성을 규명했다”며 “크론병과 같은
난치
성 대장염 치료법 연구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3389/fimmu.2017.0134 ... ...
과학&기술의 최전선ㅣ조직 세포 원하는대로 복제 '불로장생' 넘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08
보는 견해로 인해 윤리적 제약이 많다. 현재는 생명윤리법 29조 1항에 따라 22개 희귀
난치
병 외에는 연구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연구를 하더라도 각 기관 자체의 생명윤리위원회(IRB)와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등의 심의를 겹겹이 받아야 한다. 2014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체세포의 핵을 핵이 없는 ... ...
과학자들 목소리 “바이오의약 발전 위해 '생명윤리법' 개정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7.12.08
개선을 요구했다. 현재 유전자 관련 치료와 배아 연구 때에는 구체적으로 명시된 희귀
난치
병 22개 외에는 원천적으로 연구가 차단돼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제약이 과하다고 보고 영국과 미국, 일본 수준으로 제한을 해제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지금처럼 허용하는 병명을 정하고 그 밖의 모든 ... ...
과학&기술의 최전선ㅣ재생의학 ‘붐’ 타고 줄기세포 치료 규제도 완화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2.08
박소라 글로벌 줄기세포/재생의료 연구개발촉진센터장(인하대 의과대학장)은 “희귀·
난치
성 질환 1만 여 개 중 치료법이 알려진 것은 약 500개에 불과하다”며 “기업의 임상시험에서 미처 다루지 못하는 질환이 있을 수 있고, 임상 의사들이 더 이상 손 쓸 방법이 없는 환자들을 치료하며 연구를 ... ...
[과학&기술의 최전선] 유전자 치료제 해결사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01
프로그램하에서만 사용한다”고 밝혔다. 유전자 치료제가 연달아 승인을 받으면서
난치
성 암을 치료할 기술적 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비싼 치료비 때문에 논란이 일고 있다. 노바티스는 킴라이아 1회 치료 비용으로 47만5000달러(약 5억2000만 원)를 책정했다. 예스카르타를 만든 길리어드 ... ...
[세상에 없던 연구, 평가는?] 미국, 한국식 정년 보장 없는 국립보건원 편
동아사이언스
l
2017.11.29
자리해 있다. 이곳에는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병원에서는 더 이상 손 쓸 수 없는
난치
성 희귀질환 환자들도 임상시험에 희망을 걸고 찾아온다. 11월 1일 NIH 캠퍼스 앞에 도착하자 지하철 메디컬센터역 출입구 벽이 눈에 들어왔다. 벽에는 ‘환자를 최우선으로(Patient First)’ 라는 안내 문구가 붙어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해독 기술 3세대로 진화… 시장 선점위해 ‘합종연횡’
동아사이언스
l
2017.11.24
개인별 처방을 유전자라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도록 토대 자체를 바꾼 것이다. 또 암 등
난치
병과 각종 유전병 연구가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만들었다. 각각의 생물 종의 특성 차이를 DNA에 기반해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은 물론이다. 게놈 해독은 기초과학부터 상용기술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됐다.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 해독도 오픈소스 바람 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그 외 지역 사람도 개인마다 300만~400만 개의 염기서열 차이가 있다. 이런 변이 중 일부는
난치
병이나 암 같은 질병은 물론이고 키 등 신체 특성과 직접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변이의 수가 워낙 많다 보니 어떤 변이가 어떤 질병이나 신체 특성과 연관되는지 아직 다 파악하지 못하고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