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적
훈공
공
성공
보람
수훈
한길
뉴스
"
공로
"(으)로 총 1,017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이런 펄서를 ‘쌍성 펄서’라고 부른다. 두 연구자는 새로운 형태의 펄서를 발견한
공로
로 199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쌍성 펄서를 발견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오랜 시간 관측해 중력파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증명하는 기회도 제공했다. 20년 가까이 꾸준히 관측한 ... ...
[과학게시판] KBSI ‘사랑의 연탄 나눔’ 진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한국원자력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이 바라카 원전 시운전 정비계약 체결 등에 기여한
공로
로 과학기술훈장(웅비장)을 수상하는 등 총 15명이 정부포상자로 선정됐다. ... ...
[랩큐멘터리]인간을 대신해 반도체 집적도 해결할 이상적인 설계자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강석형 교수가 2010년 발표한 논문이 ‘반도체 설계방법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공로
로 2020년 2월 열린 아시아 남태평양 설계 자동화 학회에서 ‘10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논문’으로 선정됐다. 같은 달에는 지도 학생 중 한 명이 제27회 한국반도체학술대회에서 ‘버스 라우팅을 위한 장애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의 정체가 드러나다
2020.12.24
공동으로 수상했다. 그 이유는 바이러스의 복제기제와 유전자 구조를 규명한
공로
였다. 허시-체이스 실험이 진행된 뒤 불과 2년 만에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은 DNA의 분자구조를 규명해 20세기 분자생물학의 새 시대를 열었다. 프랜시스 크릭과 제임스 왓슨. 캐임브리지대 제공 ※참고문헌 ... ...
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역시나 코로나19 연구에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나타나는 환자의 혈액에서 농도가 눈에 띄게 높아지는 두 개의 단백질을 발견한
공로
로, 김종현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최은화 서울대병원 소아과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에 감염된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감염 후 2~3주까지 바이러스를 배출한다는 사실을 알아내 우수 ... ...
[의학게시판] 이종호 서울대치과병원 교수 홍조근정훈장 수훈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19
구강영역의 미세수술과 재건분야 발전과 의료기기 임상시험 활성화, 산업발전에 기여한
공로
를 인정받았다. ■이화의료원은 송은미∙박예현 이대서울병원 소화기내가 교수가 아시아염증성장질환학회 학술대회에서 각각 우수연구자상을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송 교수는 '3D 배양 기술을 ... ...
'과학 한국' 이들이 있어 지금이 있다…한국을 빛낸 ‘1호’
동아사이언스
l
2020.12.18
퍼듀대 유학 당시 함께 연구한 허버트 브라운 박사는 1978년 유기합성 효율을 높인
공로
로 노벨화학상을 받았는데, 당시 노벨상 수상 기념 강연에서 윤 교수를 자신의 연구에 기여한 연구자로 가장 먼저 언급했다. ●고(故) 임덕상 | 세계적 대수기하학자…한국 수학 인재 양성에 기여 고(故)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을 발견하기까지
2020.12.10
연구했던 허먼 멀러는 훗날 X선을 이용해 인공적으로 쉽게 돌연변이를 냈다. 이
공로
로 멀러는 1946년 노벨상을 수상했다. 그렇다면 과연 유전물질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 실체를 밝히기까지에는 모건 이후로도 약 40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했다. 이 여정의 중요한 분기점은 1928년의 영국 세균학자 ... ...
"한반도 백악기 지층은 세계 최고의 화석 산지...1억 년 전 동물 생태 생생히 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2.09
한반도 동물 생태계의 다양성을 밝히는 과학적 연구로 이 지역 자연유산의 가치를 높인
공로
로 ‘2020 문화유산보호유공자’ 대통령표창을 수상했다. 윤신영 기자 지난해 초 경남 사천에서 약 1억10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에 살던 거대 원시악어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 길이 3m로 추정되는 이 ... ...
[전문용어의 벽, 어떻게 허무나](상)175년간 5107권에 가장 많이 등장한 용어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그해 10월 폴링은 화학결합의 성질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복잡한 물질 구조를 설명한
공로
로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용어는 과학기술 발전상의 표상"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따르면 달라진 대중들의 인식에 맞춰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사진, 일러스트 같은 이미지도 용어와 함께 대중의 과학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