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d라이브러리
"
힘
"(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비눗방울 어떻게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표면장력’은 액체 분자가 서로를 끌어당겨 액체의 표면적을 최대한 작게 만들려는
힘
이에요. 비누막에 기체가 분사되면 비누막이 구부러지며 표면적이 커져요. 그러면 표면장력은 비누막의 표면적을 줄이려고 하죠. 표면장력이 표면적을 줄이는 데 성공하면, 비누막은 평평하던 제 모습으로 ... ...
우주 공장에서 만드는 물방울 렌즈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의해 완전한 구형을 만든다. 표면장력은 유체의 표면적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이다. 구형은 같은 부피에서 가장 작은 표면적을 갖는 만큼 별도의 과정이 없이도 매끄러운 표면의 렌즈를 얻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모란 베르코비치 테크니온이스라엘공대 교수는 “자연에서 일어나는 ... ...
[(구)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우리는 누리호 대신 컵을 쏘아 올리자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그래서 컵 아래쪽에 공기가 정체됩니다. 이렇게 공기가 모이면서 컵을 위로 밀어 올리는
힘
이 생깁니다. 컵이 떠오르고 나면 옆면에 입김을 맞아 입김이 부는 방향으로 밀리죠. 그러니까 핵심은 입김을 세게 불어 띄우고, 입김을 부는 방향을 잘 조준해 컵에 골인시키는 겁니다.정 교수는 “겹쳐진 ... ...
[논문탐독] 세상을 들어 올리는 지렛대 과학자들의 실험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사회와 유리되어 자신만의 호기심을 좇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요, 아니면 세상을 바꿀
힘
을 만들어내는 이들로 보이나요. 이제 다시 실험실을 보시겠습니까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보여준 일… 보이다… 보다… 관찰. 관측?혹시 타인이 채팅방을 보는 행위가 양자 얽
힘
을 풀었던 걸까? 상자 속 고양이를 관찰함으로써 생사를 결정짓듯이? 논리적이었다.하지만 허탈함을 감출 길이 없었다. 이상하지만 뜻이 잘 맞는 친구를 잃은 것 같아 마음이 몹시도 헛헛했다. 이대로 영영 끝인 ... ...
[똑똑하마] 날아간다, 슝~! 고무줄 대포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손을 놓으면 모양을 유지해 줘요. 집게도
힘
을 줘서 벌렸다가 놓으면, 다시 돌아가는
힘
으로 종이를 꽉 잡아주지요. 야구공은 배트에 맞으면 움푹 들어갔다가 원래대로 돌아오면서 뻗어 나가요. 만약 탄성이 없다면 우리는 용수철이 들어있는 푹신푹신한 침대를 쓸 수 없게 돼요. 피아노나 컴퓨터 ... ...
[핫이슈] 스파게티 면 던지지 마세요! 면들이 서로 붙은 정도만 확인하세요~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서로 달라붙습니다. 물에 삶은 스파게티 면이 구부러지는 것도 계면에 작용하는
힘
때문이에요. “코로나19로 연구실이 폐쇠된 덕에모두가 흥미로워하는 연구를 하게 됐어요!” 안녕하세요. 스파게티 면 연구를 진행한 황종현입니다. 지난 5월 일리노이대를 졸업했고, 9월부터 미국 ... ...
[인터뷰] 이상한 수학의 매력에 퐁당~!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사실이 흥미롭게 느껴졌어요. 김동휘 : 수학이 많은 기술과 얽혀 있고 그만큼 엄청난
힘
을 갖고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 예를 들어 리만 가설*이 풀리면 이 세상 많은 암호가 풀려버리고, 사이버 전쟁이 일어나거나 해킹 때문에 전자상거래도 어려울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말에 깜짝 놀랐거든요. ... ...
재활용 넘어 새활용으로!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알려주자!”리사가 들뜬 목소리로 말하자, 이클이 맞장구를 쳤어요.“그래! 우리 다 함께
힘
을 모아서 쓰레기로 고통받는 지구를 구하는 거야!” 캔을 ‘쏙’ 넣으면 포인트가 ‘쑥’길에서 오른쪽 사진처럼 생긴 자판기를 본 적 있나요? 재활용되는 쓰레기를 넣으면 자동으로 분류하는 인공지능 ... ...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오염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고 밝혔다.‘풀뿌리 과학’ 시민 과학의
힘
탐사에서 중요한 것은 우리가 생태계의 주인이 아니라는 인식이다. 박쥐의 서식지에 잘못 접근했을 때는 서식지 파괴로 생태계 균형이 무너질 수도 있다. 따라서 서식지를 탐사할 땐 손님이 된 마음으로 다가가야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