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바탕
d라이브러리
"
한참
"(으)로 총 758건 검색되었습니다.
One More Step to AIDS Cure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약을 꺼내 사람들에게 주사할 수 있을 정도로 유효한 HIV 백신을 만들기에는 아직
한참
멀었다”라고 말한다.그것은 사실일지 모른다.그러나 독자적으로 HIV 백신 개발을 시도 중인 데이비드 호 박사는 바이러스의 조각을 사용해 인체의 면역체계를 깨우고 활성화시켜 항체를 생성하도록 만드는 ... ...
우울과 몽상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동쪽에서 떴다.오늘은 해가 동쪽에서 떴다.==> 따라서 해는 항상 동쪽에서 뜬다.이처럼
한참
동안 관찰한 결과 해가 동쪽에서 떴다면, 해는 항상 동쪽에서 뜬다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죠.물론 귀납법으로 이끌어 낸 결론이 항상 참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여러 종류의 새를 관찰한 결과 모든 새는 ... ...
진화의 실험실, 갈라파고스에 가다 2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모래 해안에 상륙했을 것이라 했지만 나는 항해기에 기록된 지명을 믿기로 했다. 그렇게
한참
해변을 돌아다니다 급경사 언덕 아래 숨어 있는 모래 해안을 발견했다. 상륙하기에 적당해 보였고, 세로띠에레따스에서 이모래 해안 말고는 절벽과 바위뿐이라 이 곳이 상륙지임을 확신할 수 있었다 ... ...
‘꿈’이 필요한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이공계로 나왔으며 창의력이 특히 우수했다. 물론 학생의 장래희망은 프로게이머였다.
한참
이야기를 나누다가 학생이 판타지 소설을 좋아하며 그림에도 소질이 있음을 알게 됐다. 결국 학생은 진실한 눈빛으로 컴퓨터공학과(경영학 복수전공) 진학을 목표로 공부하기로 약속했다. 학생을 설득한 ... ...
뫼비우스 행성 탐험기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저런 세상이 실제로 있을까? 가 보고 싶어. 제발….’ 이런 생각에 앤츠가 그림을
한참
동안 뚫어져라 쳐다보고 있는데 누군가 걸어오더니 나에게 말을 걸었어. “준비 됐니?” 앤츠는 아저씨를 힐끗 쳐다보는 순간 정신을 잃고 말았어!▼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뫼비우스 행성 탐험기첫째 날 M-21 ... ...
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고, 아무도 나를 해치지 않는다는 생각에 조금은 안심이 됐지.
한참
을 가다 보니 익숙한 장소가 보이고 익숙한 길이 다시 시작되는 거야. 마치 같은 공간을 빙빙 돌고 있는 것처럼!도대체 여긴 어딜까?“여기는 M-214호란다. 뫼비우스 띠 모양처럼 생긴 행성이지.”어디서 굵직한 ... ...
마지막 날 현실과 통하는 문, 클라인 병 건물로!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내 한 발을 내디디는 순간!“아! 살려…줘…요.”나는 깊은 수렁으로 빠져 버리고 말았어!
한참
시간이 흘렀을 거야.“이 녀석아! 빨리 일어나!”정신을 차리고 보니 옆에 뫼비우스 아저씨가 곁에 있었어. 얼마나 다행이었는지 몰라. 아저씨 얼굴을 보니 놀란 가슴이 진정됐어.“아저씨, 우리 갇혔나 ... ...
병문고 천하대특별반 수학도사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도와 주고. 특별반에 있었으면 공부 잘했을 것 같은데요. 하하~.”선생님과 이야기를
한참
나누고 있는데 촬영 스텝이 와서 선생님 차례라고 스튜디오로 가셔야 한다는 거야. 그래서 인터뷰는 조금 뒤로 미루고 공부의 신 촬영을 잠깐 살펴보기로 했어.스튜디오는 특별반 교실로 꾸며져 있었어. ... ...
금메달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눈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마찰력이 적다.체육과학연구원 김정훈 연구원은 “스키 속도를 내는 데는 내린 지
한참
된 눈에서 경기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한다. 알파인 스키처럼 회전을 할 때 눈이 많이 패는 부분에는 일부러 눈 아래 10~15cm 깊이에 고압으로 물을 주입한다. 물이 얼면서 형성된 딱딱한 얼음층이 경기력을 ... ...
도전! 지구 해설가, 어린이 도슨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부글부글 끓었던 당시의 아기 지구는 아직 땅이 생기기 전이었다. 땅은 지구가 식으면서
한참
뒤에 생겼는데, 그게 38억 년 전의 일이다. 그리고 그로부터 3억 년 뒤 바다가 만들어졌다. 최초의 생명체인 시아노박테리아는 이 바다에 살며 산소를 만들어 냈다. 시아노박테리아는 선캄브리아대의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