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평면도"(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프랑켄슈타인 박사, 당신이 날 이렇게 흉측한 모습으로 만든 건가? 죽은 사람도 소중한 법인데, 시체들을 훼손해 괴물을 만들어 내다니…. 당신은 악마야!당신처럼 인공생명체를 만드는 사람을 모조리 해치워버리겠어! 그 마지막은 당신일 테니 기다리고 있으라구!인공생명의 아버지 폰 노이만인공 ... ...
- [동아리탐방] 우리는 수학을 사랑하는 N.O.M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무더운 여름, 책상을 정리하던 최 기자는 특별한 브로셔를 발견했다. 바로 수학 교구를 직접 제작하는 인천 송도고 수학 동아리 N.O.M을 소개하는 브로셔다. 수학 교구를 만드는 특이한 활동에다 예사롭지 않은 동아리 이름까지, N.O.M은 대체 어떤 동아리일까?호기심이 발동한 최 기자는 곧바로 인천 ...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그 이후에는 불규칙한 다각형도 구적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냈다.직선으로 된 평면도형이 모두 구적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되자, 수학자들은 곡선으로 이뤄진 구적문제를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한 수학자가 곡선으로 된 도형 중 구적이 가능한 것을 찾았는데, 그가 바로 히포크라테스다. 당시 ... ...
- 마술 부리는 행성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스텔라노바는 뛰어난 품질의 지구본을 만드는 독일 제조사다. 지구본을 만들려면 평면에 인쇄한 지도를 곡면에 이어 붙여야 하기 때문에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음새를 찾아볼 수 없는 성형 기술, 360°로 회전할 수 있는 독특한 거치대는 스텔라노바의 자랑이다. 그러나 이 브랜드를 널리 알린 ... ...
- [체험] 디지털건축연구실 탐방 건축, 예술 작품이 되다!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건축가는 수학자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어떠한 형태도 기하학으로 표현하고, 실제로 짓기 위해 모든 값을 수치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런데 단순한 계산을 넘어서 수학을 활용해 건축 디자인을 하는 사람이 있으니, 바로 디지털건축연구실 국형걸 교수다. 게다가 그의 디자인은 미술관에 전시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손진영 일병!”“네! 일병 손진영!”“오늘은 새로 들어온 박형식 이병에게 포병숫자와 수기신호를 가르치도록 한다. 포병숫자와 수기신호로 구구단을 욀 수 있도록 철저히 가르치기 바란다.”“네? 포병숫자도 제대로 모르는데…, 구구단을 가르치라는 말씀이십니까? 병장님 너무하십니다~.”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저도 이 샌드위치, 참 좋아하는데요, 제가 한번 먹어 보겠….”“컷! 꼬꼬~! 그게 아니야! 시청자들은 이제 평범한 착한식당에 질렸다고!”이영돈PD의 먹거리 X파일 스튜디오에 이상한 손님이 불쑥 찾아왔다. 그 주인공은 바로 치킨맨! 불청객의 등장에 깜짝 놀란 이영돈PD가 말도 못하고 입만 뻐 ... ...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스티븐 스메일은 1966년 ‘푸앵카레의 추측’ 문제를 5차원 이상에서 해결한 업적으로 필즈상을 받았다. 당시 그의 나이는 36세였다. 여기까지 보면 인류 역사상 종종 등장하는 천재 수학자가 그 총명함으로 이른 나이에 세상을 놀라게 한 것으로만 보인다. 그렇지만 스메일에겐 다른 수학자에게서 ... ...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이 평면 위에 펼치면, 입체도형이었던 정육면체는 십자가 모양의 평면도형이 된다. 우리는 정육면체의 전개도가 여러 개라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럼 모두 몇 가지일까? 혹시 전개도가 그려진 종이를 가위로 오려 직접 정육면체 만들어 본 경험이 있다면, 이제 더 이상 그런 ... ...
- [가상 인터뷰] 꿈의 소재, 그래핀에는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지난 5월 미국 컬럼비아대 김필립 교수는 그래핀으로 물리학계의 37년 된 난제 ‘호프스타터의 나비’를 구현했다고 발표했어요. 이때 수학적 구조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죠. 놀라운 것은 2005년 그래핀의 양자홀 효과에 이어 이번에도 영국 맨체스터대 안드레 가임 교수와 같은 시기에 연구 결과를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