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근
근간
근대
요사이
요즈음
새로움
지금
d라이브러리
"
최신
"(으)로 총 1,171건 검색되었습니다.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얻은 물질이 들어있는 바이알(작은 유리병)이 담긴 박스를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최신
분석장비로 이 물질의 조성을 분석해 당시 밀러가 확인했던 것보다 더 많은 유기분자(아미노산 22종과 아민 5종)가 들어있음을 확인해 2008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밀러의 실험이 50년도 더 지난 뒤에 좀 더 ... ...
원전, 방사능, 에너지 총정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원자력에 투자할 비용이면 재생에너지 사회를 앞당길 수 있다고 본다.국내 저자의
최신
책들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전을 둘러싼 논쟁과 대안을 두루 정리한 좋은 책이 여럿 나왔다. 그 가운데 국내 이공계 전문가가 쓴 믿을 만한 책을 모아 봤다.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 깃털공룡은 오랜 발굴 및 연구 역사를 지닌 공룡 분야에서도
최신
분야다.지난 7월 ‘네이처’를 통해 정체가 드러난 ‘샤오팅기아(Xiaotingia)’라는 이름의 깃털공룡은 공룡과 새의 진화 이론에 이전에 없던 새로운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샤오팅기아 깃털공룡은 닭보다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한다. 포항가속기연구소의 방사광가속기는 이런 2세대형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최신
형 3세대 방사광가속기다. 휨자석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방사광 뿐만 아니라 더 강한 방사광을 얻을 수 있는 장치(삽입장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삽입장치를 거친 방사광은 기존 방사광보다 수천 배 강하기 ... ...
목소리 크면 주던 점수, 이젠 정밀 채점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를 고려한다면 아마도 머지않아 반주기의 스트리밍서비스도 본격화돼 언제 어디서든
최신
곡을 바로 즐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3D 영상이 본격 지원되면 실제 공연장에서 노래를 부르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것이다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건 당시 영국도 마찬가지였던 것 같다) 이때 바로 눈앞에서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린
최신
논문의 의미를 설명하는 딕슨 교수의 강의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1960년대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 막 규명되기 시작하고 유전자의 작동 원리가 밝혀지던 ‘분자유전학’의 여명기였다. 학부를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만 916m 깊이까지 들어가는 데 성공했다. 이 기록은 지금까지도 깨지지 않은 채 남아있다.
최신
형 잠수정 왜 1만m 못 들어갈까만약 트리에스테 2호기를 현대 해양과학자들에게 넘겨준다면 얼마나 많은 과학실험을 할 수 있을까. ‘할 것이 거의 없다’가 정답이다. 트리에스테호는 자체 동력이 없고,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최신
과학이슈들이다. 이 책은 과학잡지 편집장과 기자, 과학자들이 선정한 과학계의
최신
이슈를 설명한다. 중간 중간에 화려한 그래픽과 도표가 함께 실려서 기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일본 대지진은 올해 전세계적으로 가장 큰 뉴스였다. 첫 장에서 일본 대지진과 관련해서 심층보도된 기사를 ... ...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검열은 대중에게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기도 한다.]비타민의
최신
연구를 접한 기분이 어떤지 모르겠다. 의료나 의약 관련업계에 종사하는 분이 아니라면 누구나 조금은 놀랐을 것이다. 최근의 학계 동향은 비타민의 효용성이 지나치게 과대 포장돼 왔다는 점을 지적하고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빠르면서도 더 정확한 모형을 개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특히 많은 과학 분야에서
최신
수학연구 결과를 가져다 활용할 경우 기존에 개발된 프로그램이나 예측모형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런데 과학자들은 수학과 그 응용방법을 잘 몰라서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2010년부터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