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점"(으)로 총 2,67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로버·초음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돌며 멀리서 관측하는 궤도선과 달리 행성을 가까이서 세세하게 탐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또, 고정된 착륙선과 달리 다양한 지형을 돌아다니며 알아낼 수 있답니다. 초음파는 인간이 들을 수 없는 2만Hz 이상의 높은 진동수를 가진 소리를 말해요. 사람은 나이와 건강상태에 따라 들을 수 ...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생명 활동을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계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수리생물학의 가장 큰 장점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생물학은 생명을 다루는 만큼 실험대상을 키우는 데 일정 시간이 걸린다. 특히 세대가 긴 개체군의 변화를 확인하는 관찰 실험의 경우 수십 년이 필요한 ... ...
- [사랑고민상담소] 25년차 솔로의 소개팅앱 성공전략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효과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예를 들어 백신 접종에 반대론자들을 설득하기 위해 백신의 장점을 얘기하기보다는, 앞서 말한 6가지 태도 중 어떤 점 때문에 백신을 거부하는지 살펴보는 게 먼저라는 거죠. 무엇이 문제인지 파악한 뒤 그 태도를 수정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는 겁니다.강보배 님의 ... ...
- 이것도 주기율표라고? 주기율표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지금까지 1000종류에 달하는 주기율표가 만들어졌어요. 하지만 대안 주기율표는 나름의 장점만큼 단점도 있어요. 빙글빙글 돌려가면서 읽어야 한다거나, 접어서 편히 가지고 다니기 힘들기도 하죠. 이것이 아마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가 지금껏 가장 널리 쓰이는 이유일 거예요. 그렇지만 화학자들은 ...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습도의 영향이 적으며, 3차원 구조여서 실제 환경과 유사하다는 장점도 있다.다만 알파 입자 한 개에서 100펨토암페어(fA·1fA는 1000조분의 1A)의 매우 약한 전류가 나오기 때문에 주변 잡음을 제거해야 정확도가 높아진다. 또 알파 입자는 라돈의 방사성 동위원소인 토론의 붕괴 ... ...
- 과학은 즐거움이다_하우영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있다”며 “큰 대회에 참가해 시야를 넓히면서 진로를 선택하는 폭이 넓어진 것도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리틀뉴턴 1기로 하 교사와 5년째 인연을 이어오고 있는 정수연 양(진명여중 3학년)은 ‘오조봇’이라는 코딩 가능한 로봇을 주제로 대회에서 부스를 운영한 경험을 이야기했다. 그는 ... ...
- 과학은 대화다_홍영덕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설명했다. 또 홍 교사는 “학생들이 책을 읽다가 모르는 내용을 바로 물어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며 “굳이 어려운 책을 읽어야 할 필요는 전혀 없으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책을 골라 읽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독서 시간 이후 5분간은 복습 시간이다. 수업마다 한 명씩 돌아가면서 지난 ... ...
- [SW 진로체험]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영상만든다!수학동아 l2019년 05호
- 개발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영상과 같은 시각적인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점이 큰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참여했던 영화 제작 프로젝트가 마무리되고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순간 그 기쁨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죠. 프로그램 개발과 영화, 애니메이션 등의 콘텐츠에 관심이 있다면 이 진로를 ... ...
- [섭섭박사 메이커 스쿨] 아크릴 램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부품들을 고정시킨 거지요. 초록판과 납을 이용해 만든 전기회로는 크기가 작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만드는 과정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어요. 부품을 고정시킬 때마다 일일이 납을 녹여야 하니까요. 그래서 개발된 것이 바로 ‘브레드보드’랍니다. 브레드보드는 플라스틱으로 된 틀 안에 전류가 ... ...
- [로보트 재권V] 사물인식에 음식인식까지 심부름 시켜보자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판단을 놀라운 속도로 빠르게 해내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인데, 사물 인식을 하는 데는 그 장점이 별로 쓸모가 없는 셈입니다. 반면 인간은 길에 지나가는 고양이를 슬쩍만 보고도 고양이인 줄 압니다. 시베리안허스키와 치와와처럼 몸집이 수십 배 차이가 나는 개를 보고도 두 생명체를 모두 개라고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