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원"(으)로 총 2,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달 착륙 50주년 기념 출발! 은하수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치직, 치직…. 안녕하십니까. 여러분의 여행을 책임질 우주 함장 ‘캡틴 스트레인지’입니다. 이 우주선은 지구에서 출발해 달을 거쳐 태양계를 지나 우리은하까지 향할 예정입니다.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그럼, 우주선 출발합니다~!” Intro. ... ...
- 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본격적인 여행을 시작하기 전, 가볍게 몸을 푸는 의미로 몇 가지 퀴즈를 준비했습니다. 지금부터 제 얘기를 잘 들으시고 이것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를 맞혀 주시면 됩니다. 첫 번째 이야기는….” 진실 혹은 거짓 1 - 외계인 탐사선이 지구를 향해 날아온다? 지난 2017년, 태양계 밖에서 온 막대기 ...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저희 우주선도 보이저호를 따라 태양계를 벗어났습니다. 손잡이를 꽉 잡으세요! 우주선이 급정거할 수도 있거든요. 이제부터는 앞에 어떤 행성이 갑자기 나타날지 잘 모르니, 항상 충돌에 조심해야 한답니다. 운이 좋다면 지구와 비슷한 행성을 만날 수 있을지도…?” 지구의 사촌, 슈퍼지구 ... ...
- [이달의 PICK] 삼겹살 기름으로 화력 발전? 석유 대신할 바이오중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한다’는 제목으로 기사를 냈다. 여기에 9월 11일 당시 배현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 대변인의 비판이 더해져 사람들에게 혼란을 일으켰다. 배 대변인은 산업통상자원부의 발표에 대해 “원전을 포기한 정부가 급기야 삼겹살을 구워 전기를 쓰자고 한다”며 “지나가던 돼지도 웃겠다”며 강도 ... ...
- Part 3.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제 우리는 태양계 바깥으로 나갈 예정입니다. 어마어마하게 멀리 왔지요? 그런데 이곳에서도 인류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답니다! 여기 어디에 뉴 호라이즌스호와 보이저호가 있을 텐데…. 아, 저기 있네요!” 더 멀리! 태양계를 벗어난 위성 인류가 가장 먼 곳까지 보낸 우주 탐사선은 무 ... ...
- 노벨 생리의학상, 암 정복의 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혼조 교수가 개발한 PD-1 면역치료제도 2014년부터 암 환자를 치료하는 데 쓰였어요. 노벨 위원회는 “앨리슨 교수와 혼조 교수는 면역학 연구를 통해 암 치료 방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며 “이를 통해 새로운 항암 치료 시대를 열었다”고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한 이유를 밝혔어요 ... ...
- 노벨물리학상, 빛으로 도구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스트릭랜드 교수가 공동으로 상을 받았지요. 노벨 물리학상 선정위원회 올가 보트너 위원장은 “지난 60년 동안 레이저 장치는 절단, 레이저 프린트, 바코드, 레이저 수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돼 왔다”며 “이 분야에서 새로운 길을 열어준 분들의 공로를 인정한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답니다 ... ...
- AI 월드컵, 우승팀 필승 전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AFC위슬팀은 상금으로 1만 달러(약 1000만 원)를 받았지요. AI 월드컵 조직위원회 부위원장인 하동수 교수는 “AFC-위슬 팀의 공격수가 수비수를 제치고 골대로 향하는 상황은 이 팀이 전략을 얼마나 세밀하게 짜고 대비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라며 “우승팀인 만큼 코딩 수준이 매우 ... ...
- 인공지능이 축구를 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계속 이기면 결승까지 올라가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승부를 겨루었답니다.AI 월드컵 조직위원회는 축구 경기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코드를 공개했어요. 축구장과 선수, 공, 골대 등을 코드로 표현하고, 각각의 요소를 어떻게 작동시켜야 할지 기본 뼈대를 정한 거예요. 참가팀은 이 기본 ... ...
- AI 기자 경기 내용을 분석해서 담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하지만 두 팀 중 한 팀이 정확한 구조와 문장, 내용을 담은 기사를 완성하면서 심사위원들의 주목을 받았어요. 그 주인공은 바로 싯 리포터(SIIT-Reporter) 팀이랍니다. “최신 축구 기사를 보며 필요한 통계 데이터를 공부했어요!”싯 리포터 팀의 리더인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주동규 박사과정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