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도"(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약간 보였다 숨겨졌다 하는데, 이 현상을 칭동(秤動)이라 한다. 칭동에는 경도칭동 위도칭동 일주칭동 등이 있다. 결과적으로 월면의 41%는 항상 지구에서 보이지만 41%의 월면은 직접 보이지 않으며, 나머지 18%는 번갈아 보이기 때문에 우리는 달표면의 59%까지를 볼 수 있다.달 표면은 맨눈이나 ... ...
- 위도따라 끊임없이 독특한 기류운동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지구가 흡수하는 태양에너지는 저위도대가 고위도대보다 훨씬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위도대의 온도가 매년 높아지는 일도 없고 고 ... 위도별 태양에너지의 차등입사에 의해 발생하는 고위도와 저위도의 온도차를 위해 위도별로 고유한 양상의 운동을 끊임없이 계속하고 있는 것이 ...
-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과학동아 l1993년 04호
- 크게 다섯 가지로 대표된다. 남해의 해안 저위도 지역에서부터 백두산의 고위도에 이르기까지 난온대-상록수림, 온대-낙엽수림, 냉온대-낙엽수림, 한온대-침활혼합림, 아고산-침엽수림의 순으로 수평적 배열을 보여주는 숲의 사회다. 이것은 각 지역의 지리와 지형에 따라 수직적으로 압축돼 ...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과학동아 l1993년 03호
- ②뒤쪽에 붙어 있는 극축상하미동장치의 조정나사를 돌려 적경축을 관측지점의 위도와 일치되는 경사각도로 조절한다(서울지방의 경우 약 37.5도).③극축 좌우미동장치를 조정해 적경축을 하늘의 북극방향이 되도록 한다. 정확히 북쪽을 알기 위하여 태양의 남중시 그림자를 이용하거나 밤에는 ... ...
- 5 문명과 흙과학동아 l1993년 01호
- 미국과 멕시코의 국경지대, 북미와 남미의 태평양 연안지역, 오스트레일리아의 내륙 등 위도 30º전후에 위치한 아열대 고기압대를 중심으로 한 건조·반건조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막화는 인위적인 요인과 기후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 ...
- 3 기후와 토양과학동아 l1993년 01호
- 갈색을 띠는데, 일반적으로 층화(層化)가 불량하다.■타이가 기후지역/포드졸토가 발달위도상 60º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에서 북아메리카 대륙까지 동서로 뻗은 이 지역은 타이가라고 불리는 침엽수림의 대삼림대를 이룬다. 이 지역은 여름이 짧아 작물의 생육기간이 50~70일에 불과하지만, 낮의 ... ...
- 뉴질랜드과학동아 l1993년 01호
- 북극까지의 거리보다 뉴질랜드에서 남극까지의 거리가 좀더 가까운 남반구 고위도에 위치하고 있다. 경도상으로는 우리나라보다 약간 더 동쪽(3시간 시차)에 위치한 동경 1백62º에서 1백73º에 걸쳐 있다. 면적은 약 27만㎢로서 우리나라의 남북한을 합친 것보다 좀더 크고 영국이나 필리핀과 ... ...
- 규슈과학동아 l1992년 12호
- 산록에 있는 만수사(萬壽寺)에는 많은 원숭이가 모여 관광객의 흥미를 돋군다. 비교적 고위도 지방임에도 불구하고 열대 또는 아열대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원숭이가 살고 있다는 것은 일본 열도가 몇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지는 작은 지판이 남쪽에서 북상해 왔으리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규슈 ...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과학동아 l1992년 11호
- 태양에 비해 그 지름은 2배정도 크고, 밝기는 14배나 더 밝다.(그림2)는 주요 지역의 위도에서 볼 수 있는 최남단 1등별들을 보여 준다. 그러나 지형적인 영향이나 빌딩, 초목, 도시의 불빛, 대기상태 같은 것이 시야를 가리기 때문에 실제로는 지평선에서 10도 이상 떨어진 별들이라야 제대로 볼 수 있다 ...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과학동아 l1992년 11호
- 핵겨울보다 훨씬 더 큰 일시적 기후 영향을 미칠 것이다. 포유류, 새, 곤충, 저위도와 중위도의 식물들, 물에 사는 악어, 숨어 사는 뱀, 도마뱀, 거북 등이 해를 면했을 수 있는 정도의 한냉화에도 체온조절 능력이 아직 원시적이던 육지면의 공룡은 치명타를 받았을 수 있다.생물의 치명적 과정은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