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심리"(으)로 총 1,82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엄마 핏줄이 더 당긴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생각해 보는 건 어떨까? 이것이 시작이 되어 먼 훗날 유명한 수학자이자 인류학자, 진화심리학자로 이름을 떨치게 될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은 안다 가족끼리 왜이래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Part 2 수학이 만든 “결혼의 법칙”Part 3 엄마 핏줄이 더 당긴다? ... ...
- [과학뉴스] 기억 안 나세요? 눈 감으세요!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사람들은 흔히 무언가를 기억해 내고 싶을 때 눈을 감는다. 놀랍게도 이 같은 행동이 실제로 기억을 더 잘 떠올리게 해준다는 사실이 입증됐다.영국 서리대 심리학 ... 기술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법률과 범죄심리학’ 1월 15일자에 발표됐다 ...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좋아요’가 내 성격 맞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설명하는 100문제의 설문에 응답해 제출했다.연구진은 이 설문결과를 널리 쓰이고 있는 심리측정 방법으로 분석해서 개인의 성격을 외향적, 개방적, 우호적, 성실성, 신경증적 성향으로 구분했다. 그 결과를 컴퓨터 예측과 비교한 결과 컴퓨터 분석이 약 56%의 정확도로 참가자의 성격을 예측하는 ... ...
- [Life & Tech] 막춤의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추기 전보다 활성화 됐다. 춤을 추면 오히려 차분하게 집중하는 능력이 올라간다!막춤은 심리 치료나 정신 수련에 효과가 있다. 미국 의학계에서는 1930년대부터 정신과 환자, 정신지체 및 신체장애 환자들에게 춤을 이용한 치료를 적용해왔다.치료의 기본 원리는 춤을 통해 내 마음의 상태를 ... ...
- [Hot Issue] 누구도 완벽한 결정을 내릴 순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능력을 떨어뜨린다. 결정에 대한 불안도 마찬가지다. 미국 드폴대 심리학자 페라리 교수는 우유부단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선택 과정에서 정보를 더 열심히 찾는 경향을 보이지만 이 과정이 매우 비효율적이라고 발표했다. 우유부단한 사람은 이미 확인한 ... ...
- [과학뉴스] ‘재능’에 대한 고정관념 여성 과학자 진출 막는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여성 박사 비율이 인문학을 웃돈다는 사실은 설명하지 못한다. 이에, 최근 그 원인을 심리학에서 찾은 새로운 연구가 나와 주목 받고 있다.미국 프린스턴대 철학과 사라-제인 레슬리 박사팀은 “연구자들이 스스로 그 분야를 ‘노력보다 재능이 필요한 분야’라고 생각할 경우 여성 학자의 비율이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연애 초반의 뜨거운 사랑은 우리의 판단을 마비시킵니다. 저는 미국 아이다호주립대 심리학과 샤오밍 쑤 교수와 이제 막 사랑에 빠진 중국인 남녀 18명의 뇌를 스캔했습니다. 40개월이 지난 후 다시 그들에게 전화를 걸어 상태를 확인했습니다. 12명이 저희에게 응답을 했고, 이 중 6명은 아직도 40개월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블랙홀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미 오피가 증명한 일이니까, 이를 받아들이는 건 심리적인 문제였다고 해야겠네요. 블랙홀이라는 이름은 1967년에야 지은겁니다. 그때까지는 주로 ‘슈바르츠실트 특이점’이라고들 불렀고, 저는 ‘붕괴된 별’, 정확히는 ‘중력에 의해 완전히 붕괴된 것’이라고 ... ...
- [생활] 수학나라로 간 피노키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그럼 사또는 어떻게 범인을 잡을 수 있었을까?사또는 죄가 밝혀질까 두려운 도둑의 심리를 이용했다. 불안한 도둑은 ‘무조건 손이 깨끗해야 한다’는 생각만 할 거란 걸 알았던 것이다. 실제로 도둑은 물에 닿지 않으려고 손을 항아리에 넣는 시늉만 했다. 떳떳한 마을 사람들은 항아리 속에 손을 ...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즐거움으로 인식하는 ‘쾌감 회로’가 오히려 강하게 발달한다. 다이어트에 대한 일종의 심리적 보상이다. 다이어트를 통해 음식에 대한 쾌감 회로가 강해지면 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더 큰 기쁨을 느낀다. 이런 쾌감을 유지하기 위해 배가 고프지 않더라도 음식을 계속 섭취한다. 점점 더 많이 먹는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