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들보
광선
빈 상태
텅 빔
공허
빔 프로젝터
BIEM
d라이브러리
"
빔
"(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질의 근본을 밝힌다 입자 가속기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비하여 가속된 이온
빔
의 에너지 분산이 매우 작고, 에너지 변동이 용이하며, 각종 이온
빔
을 모두 얻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이제까지 핵물리 연구용으로 필수적인 장치로 되어왔으며, 원자로 설계나 핵융합로 설계에 요구되는 핵자료들은 대부분 이 형의 가속기로 얻는다.건조된 가속기는 직경 1. ... ...
스타워즈와 기술혁명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따라서 종양을 없앨수 있는 것이다. 앞으로의 과제는 종양을 목표물로 해서 정확히
빔
을 조사하는 기술과 종양근처의 조직을 해치지 않도록 정확성을 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S.D.I.에 반기를 든 과학자들 대부분의 대기업이나 정부기관에서 일하는 과학자와 기술자들은 S.D ... ...
기념관 건축 「졸속은 금물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높이 45m, 길이 1백26m, 폭 67m에 달하는 기념관과 같은 대형건축물의 천장에 설치한 아이
빔
에는 화재를 위해 콘크리이트하거나 시멘트를 입혀야 하는데도 이같은 가연성 물질을 설치한 것은 건축상식에 어긋나는 일이다. 다음으로 지적할 수 있는 근본원인은 무리한 공기단축이라고 할 수 있다. 총 ... ...
현대 전자첩보전의 내막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EHF대는 대기권밖의 핵폭발로 발생하는 EMP(전자펄스)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빔
을 좁혀버리므로 도청이 곤란하고 큰 용량의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빛에 가까운 성질때문에 비나 구름에 의해서 약해지기 쉽다는 약점도 있다. 대기권도 전자전장 정찰위성이나 통신위성의 ... ...
한반도의 위성사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자기테이프에 격납되어 있는 디지탈 모자이크 화상은 드럼 디지타이저 레코더(레이저
빔
레코더)라하는, 필름에 디지탈 화상을 인화할 수 있는 장치에 의해 사진으로 만들게 된다. 드럼디지타이저 레코더는 흑백필름을 회전원통에 감아 컴퓨터에서 내보내는 화상데이터를 작은 빛의 점으로 ... ...
첨단산업의 첨단공해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새로운 노광원은 전자
빔
이다. 최근 생산되는 65KD램이나 256KD램 등의 반도체칩은 모두 전자
빔
노광기가 만들어짐으로서 가능하게 된 제품이다.웨이퍼 표면의 감광제에 마스크의 회로도가 찍히면 불화수소(HF)용액에 넣고 필요한 이산화실리콘을 녹여내는 에칭(식각)작업을 한다. 에칭이 끝난 웨이퍼는 ... ...
중성자탄 쓸모없어지나?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단순히 수소 함유물질로 10cm만 씌우든가 수소함유물질에 약간의 붕소만 첨가하면 중성자
빔
을 차단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한 것(Technology Review , MIT발행).현재 동유럽 탱크에 이런 장갑이 되어있는지 안되어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 ...
미·소의 잠수함 음파탐지 경쟁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중계매체로 해서 지상기지와 잠수함을 연결하는 것이다.미 해군은 최근 순수한 파란색의
빔
(파장길이 0.459마이크론)을 실험했다고 발표 했는데 이것은 제논-클로라이드(Xenon-Chloride)레이저로 알려졌다. 이 레이저는 2만ft의 공중에있는 비행기에서 수백ft 깊이의 바다속과 통신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 ...
케이블TV와 통신위성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올린 후 한동안 우리나라에선 말이 많았다. 일본의 방송위성, 백합2호의 안테나의
빔
이 절대로 한국을 커버 못하게 했기 때문에 일본본토, 오끼나와 및 오가사하라를 각각 커버하게끔 3계통의 송신기를 만들어 실어 하늘로 올라갔다. 그중의 2계통은 고장이 났으며 일본본토만 겨우 커버하게끔 ... ...
지상 최대의 초전도 입자가속기 제작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가속되는데 15분 만에 20조 eV의 에너지 상태에 이른다. 이때 전자기 문이 열려 두개의
빔
이 맞부딪힌다. 지극히 짧은 이충돌의 순간에 우리는 우주창조의 순간을 잠깐 동안이나마 엿볼수 있다. 왜냐하면 충돌시에 대폭발이후 ${10}^{16}$초 후에나 있었던 높은 에너지 상태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물질은 ... ...
이전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