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변
대소변
사고
재앙
난리
변두리
근교
d라이브러리
"
변
"(으)로 총 867건 검색되었습니다.
일곱 빛깔 칠교의 세계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비를 이용해 건축물을 지었다. 동양에서는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변
을 구와 고, 빗
변
을 현이라 불러 3 : 4 : 5를 따르는 직각삼각형을 구고삼각형 또는 구고도형이라고 불렀다. 칠교를 이용해 수학 시간에 배우는 여러가지 도형과 동물, 사람의 모습을 만들 수 있다. 여유와 인내심을 가지고 ... ...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나눈 한 쪽 삼각형 영역에 점이 있느냐 하는 문제가 된다. 따라서 그 삼각형의 나머지 두
변
을 연장한 두 직선에 대해 물어보면 된다.직선이 2개이면 나뉜 네 영역이 모두 무한영역이라서, 미선이가 알려준 영역에 정사각형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될 때 이 점이 정사각형 안에 있는 것도 밖에 있는 ... ...
PART 3-1. 도전! 나만의 시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수 있다. 손전등을 *그노몬 위에서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반대로 움직여 보며 그림자의
변
화를 관찰할 수 있다. 물론 분과 초를 알 수 없으니 정확한 시간을 아는 것은 어렵다. 한편 우리나라는 넓이가 작아서 해시계와 실제 사용하고 있는 시계의 오차가 작지만, 미국의 경우는 대륙이 넓어 다른 ... ...
직사각형의 넓이는 왜 가로×세로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넓이란 그 도형을 덮을 수 있는 어떤 양을 수로 나타낸 것이에요.넓이의 기본 단위는 한
변
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단위 정사각형)의 넓이로 하지요.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는 것은 그 도형을 덮으려면 단위 정사각형이 몇 개 필요한지 계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가로가 3이고 세로가 4인 ... ...
수학-각과 길이를 접목한 삼각함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고대 이집트에서는 길다란 줄을 이용해서 3m, 4m, 5m의 삼각형을 그려 직각을 얻었다. 이처럼 특수한 삼각형의 각과
변
의 관계는 삼각함수로 확장된다. 이번 호에는 각의 세계와 길이의 세계를 접목한 삼각함수의 쓰임새를 살펴보자.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창의성의 5가지 영역 유창성 : 주어진 시간에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융통성 :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다양하게 사고하는 능력 독창성 : 새롭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창 ... 있다. (나) 각 꼭짓점에 모이는
변
의 개수는 모두 같다. (다) 꼭짓점은 모두 삼각형의
변
의 양 끝에만 위치한다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래 최대치를 계속 넘어서고 있으며 가용자원은 줄고 있다. 온실효과로 인한 기상이
변
을 비롯해 인류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으로 여러 가지 중 하나가 테라포밍이다. 테라포밍은 아직 너무 먼 이야기처럼 들린다. 하지만 언젠가는 ... ...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87°가 아니라 89°50'이기 때문에 실제 거리도 다소 차이가 난다.이렇게 삼각형을 이용해
변
의 길이를 알아내는 방법은 ‘삼각측량’이라는 분야로 발달했다. 삼각측량이란 측량을 원하는 지역에 계속 삼각형을 이어 그리면서 거리를 재는 방법이다. 두 지점 A와 B가 있다(그림4). A와 B 사이의 거리를 ... ...
산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론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윌리엄 해밀턴은 정십이면체의 한 꼭짓점에서 출발해
변
을 따라 남아 있는 19개의 꼭짓점을 차례로 단 한번만 통과해서 처음 출발한 꼭짓점으로 돌아오는 경로를 찾는 게임을 제안했다. 이것이 ‘해밀턴 경로문제’의 원조인 ‘해밀턴 게임’이다.산타가 이동하는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정사각형은 직사각형이다’라는 명제를 함께 살펴봅시다. 정사각형의 정의는 ‘네
변
의 길이가 같고 네 각의 크기가 같은 사각형’입니다. 직사각형은 ‘네 각의 크기가 같은 사각형’이므로 정사각형은 직사각형에 포함됩니다. 이처럼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논리를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