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식물사연] 겨울에 만나는 아카시아 꽃의 비밀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일로 바쁜 와중에도 그
길
을 지날 때면 지친 마음이 스르르 녹을 만큼 위안이 됐다.
길
의 한쪽 벽면은 바깥으로 수련 연못이 보이는 커다란 유리창으로 돼 있어 햇살이 비스듬히 비치는 저녁 무렵이면 환상적인 분위기가 절정을 이뤘다. 국립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에도 여러 종류의 아름다운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따뜻한 방 안에서 어른을 위한 눈놀이를 하자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저걸 누가 다 치우려나’ ‘퇴근
길
막히겠네’ 등 생각할 것이 많다 보니 눈을 마냥 반
길
수 없는 거죠. 이번 실험은 한때는 눈을 좋아했던, 혹은 아직 눈을 좋아하는 여러분을 위해 따뜻한 방 안에서 아무 걱정 없이 할 수 있는 눈놀이를 준비했습니다.눈은 물이 대기 중에서 결정화해 내리는 ... ...
우주, 미래 산업의 무대가 되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수 있게 됐다.특히 발사체의 경제성이 향상되면서 우주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길
이 열렸다. 규모의 경제를 통해 우주를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kg당 발사 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1970~2000년에는 1kg의 물체를 우주에 보내는 데 약 1만 8500달러(약 2100만 원)가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영원히 알 수 없을 거야. 그저 제작자의 역사를 보면 같은 종을 잔인하게 대했던 적이 많
길
래 추측해 본 거야.”의사는 고개를 돌려 천막 너머를 바라봤다. 잠시 소음이 들리더니 동체 여기저기 상처가 많은 우주선이 날아와 지면에 내려앉았다.장만이 물었다.“가려고?”“가야지. V결함 때문에 ... ...
[기획] 2022동계 올림픽 눈 없는 곳에서 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적어 스키와 닿는 면이 잘 녹지 않아 빠른 속도로 활강이 가능하고, 앞선 선수가 지난
길
에 설면이 파여 뒷 선수가 다치는 문제를 막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인공 눈과 자연 눈 차이는 결정 구조에 있습니다. 인공 눈은 물이 공중에 분사될 때 영하의 기온에 의해 순간적으로 물방울 모양 그대로 얼어 ... ...
[그래프뉴스]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해저터널 열렸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1호
해저터널은 24.51km
길
이의 노르웨이 레르달 터널이에요. 보령 해저터널의 3배가 훌쩍 넘는
길
이지요. 노르웨이는 섬이 많은 나라라서 섬을 잇는 해저터널을 많이 갖고 있다고 해요.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인터뷰] “훌륭한 연구원을 넘어 독보적인 리더로”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부장과 같은 직급을 꺼리죠. ‘이건 죽어도 못 해’가 아니면 일단 해보세요. 먼저 그
길
을 걷는 저와 같은 선배를 보면서 차근차근 준비한다면 분명 훌륭한 연구원을 넘어 독보적인 리더로 성장할 수 있을 거예요 ... ...
[스미스의 탐구 생활] 빙글빙글 돌면 반짝반짝! DIY 조명 삼총사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이 오렌지 품종은 너무 시고 맛이 없어서 아무도 오렌지를 주워가지 않아요. 그래서
길
바닥에 떨어진 오렌지들은 세비야 시의 골칫거리였죠. 그런데 이 오렌지로 전기를 만들 수 있다면 어떨까요?오렌지에서 과즙을 추출해 발효시키면 메테인 기체가 발생해요. 그리고 이 메테인을 연소시켜 발생한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쏟아부었어요. 환경을 위한 저희의 노력이 정말 멋지지 않나요? 줍깅탐사바다 산책
길
에 맥주 캔이? 김시윤 기자 경치가 좋은 해변을 산책하다가 맥주 캔을 발견해 줍깅했어요! 맥주 캔인 것으로 보아 어른이 마시고, 그냥 버린 것으로 추측돼요. 어른들도 쓰레기를 버리지 않았으면 ... ...
[특집] “너…, 아픈 냄새가 나….” 입냄새로 질병 진단하는 센서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질환이라고 판단하고 치료할 수 있지요. 이런 진단을 집에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길
이 열렸어요. 7월 28일, KAIST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팀과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공동연구팀이 황 화합물을 매우 정확하게 감지하는 구취 센서를 개발했다고 발표했거든요. 날숨에서 황 화합물을 감지하는 건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