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씨
일기
기상
천문
도시기후
도시
동안기후
d라이브러리
"
기후
"(으)로 총 2,09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계획하고 있어요. 곧 현장에서 만나요~!” 용어정리*미세
기후
: 좁은 지역 내의
기후
차이. 지표면의 생태나 지상으로부터 1.5m 이내의 기상상태를 말한다 ... ...
[한페이지 뉴스] 공기 희박해도 OK 빛으로 비행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이 비행체에 센서를 부착하면 중간권의 온도와 압력, 이산화산소 수치를 조사하는 등
기후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월 12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adv.abe112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상상력은 끝이 없다.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구와 태양 사이에 반사판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나, 지구 위에 인공 태양을 만들어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연구도 모두 과학자들의 상상력에서 시작됐다. 그런데 여기 SF 속 이야기보다 더 거짓말 같은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모든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의 조나단 지앙 연구원팀은 ‘디스커브르(DSCOVR)’라는 심우주
기후
관측위성 자료를 분석해 지구에 반사된 태양빛이 파장대마다 24시간 주기로 변한다는 사실을 2018년 7월 ‘천체물리학 저널’에 발표했습니다. doi: 10.3847/1538-3881/aac6e2이 연구결과는 지구가 하나의 점으로밖에 ... ...
[인터뷰] “신에너지 기술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들겠습니다” [한글 번역본]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고
기후
변화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 연소 기술이다. 그는 “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해서 화석연료 소비를 줄이거나 청정에너지로 전환해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며 “이를 위해 효율이 좋은 연소 시스템과 대체 연소 기술을 개발하려 노력하고 있다”라고 ... ...
[수학뉴스] 선박 이동 경로 최적화해 탄소 배출량 줄인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로 절감하겠다는 목표를 2018년에 발표했습니다. 최근 지아난드레아 만나리니 유럽지중해
기후
변화센터(CMCC) 해양예측 및 응용부 연구원팀은 선박의 운항 경로를 수학적으로 최적화해 탄소 배출량을 절감하는 모형을 제안했습니다. 최단 거리 및 최소 시간 경로를 계산할 때 쓰는 ‘안전하고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부문 박사후연구원, 노르웨이 극지연구소에서 해빙원격탐사 연구원을 지냈다. 극지
기후
를 이해하기 위한 해빙원격탐사가 주 연구 분야다. gunnar.spreen@uni-bremen ... ...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말했답니다. “메탄가스 굿바이~”흔히 소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이라고 지적받아요.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2001년 메탄가스가 이산화탄소보다 100년간 일으키는 온난화 효과가 23배나 더 높다고 보고했어요. 그런데 전 세계 수십억 마리의 소가 트림으로 매해 1억t(톤)이 넘는 ... ...
탄소배출의 주범이라고? 공장이 변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필요하다
기후
위기는 전세계를 위협하고 있고, 산업계 역시 위기를 피해갈 수 없다. 신
기후
체제가 가져올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해 산업계에서도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에너지 효율 향상을 기본으로, 재생에너지와 그린 수소의 도입, 폐플라스틱 재활용 등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공정을 ...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답니다. 이처럼 지구를 지키기 위해 인위적으로
기후
변화를 통제하려는 과학기술 분야를 ‘지구공학’이라고 해요. 우주에 거대한 차광막을 띄워 태양광을 막자거나 해양에 철분을 뿌려 산성화를 막자는 주장도 지구공학에 속하지요. 하지만 좋은 의도와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