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상정
전제
d라이브러리
"
가정하기
"(으)로 총 3,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질서┃급팽창하며 진화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진화의 핵심은 팽창이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세 가지 형태로 팽창할 수 있다. 구 모양의 ‘닫힌 우주’, 말안장 모양의 ‘열린 우주’, 그리고 평평한 모양의 ‘평면 우주’가 그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얻어진 관측 자료에 의하면, 우주는 거의 평면인 것으 ... ...
아쿠아맨! 우리는 뭘 풀어야 하죠?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 뜯어보기 1 밀레니엄 문제 N-S방정식은 이렇게 생겼다! ● 뜯어보기2. 특이점이란?함수에서 특이점은 미분이 불가능한 뾰족한 지점이다. 만약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N-S 방정식에 특이점이 있다면 연속적으로 흐르던 물이 갑자기 예측 불가능한 방향으로 흐를 것이다. ● 뜯어보기3. 공기는 이 ... ...
후보4. 게임 이론의 숨은 공신 사자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미국 수학자 존 내시를 노벨 경제학상으로 이끈 ‘게임 이론’을 알고 있나요? 게임 이론하면 대부분 ‘죄수의 딜레마’만 알고 있는데 저희 사자도 죄수만큼이나 게임 이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줬습니다. 바로 ‘사자의 딜레마’로요! 게임 이론은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수학자 존 내시가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필자는 화학자다. 화학자들은 물질을 원자 수준에서 들여다보려는 습성이 있다. 이런 필자에게 생물은 너무나 어려운 대상이었다. 세포 하나가 수천 개의 거대한 분자로 구성돼 있고, 그 구성 방식도 이해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런 세포들이 수조 개 모여 사람이라는 하나의 ... ...
[프리미엄] 부활한 돼지 뇌세포 생명의 경계를 흔들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돼지가 죽은 지 4시간 뒤인공 혈액인 ‘벡스’를 주입하자놀랍게도 혈관이 재생되고 뇌세포도 다시 부활했다" 남자의 정자와 여자의 난자가 만나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수정란(배아)이 생성된다. 이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되고, 약 60일이 지나면 비로소 호흡을 관장하는 뇌간을 비롯해 뇌 조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신약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수학적 모델링으로 구현한생체시계 모델을 활용했다" 신약과 수학 “컴퓨터 안에 가상의 생명체를 구현해 이를 계산 도구로 활용합니다. 복잡한 생명 시스템을 수학이라는 도구로 쉽게 이해하는 거죠.”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수학자이자 생물학자다. 대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산소는 우주에서 수소와 헬륨 다음으로 흔한 원소로 각종 원소와 반응해 다양한 산화물을 생성한다. 그만큼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원소 중 하나다. ‘익숙함에 속아 소중함을 잊지 말자’는 문구는 어쩌면 산소를 위한 말일지도 모른다. "산소의 발 ... ...
지구를 위한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지구 환경을 위한 연구는 환경학자나 과학자만 할 것 같은데 수학자도 한다니 놀랍죠?사실 수학자들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지구를 위한 수학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세계 곳곳은환경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요. 수학자들도 가만히 보고만 있을 수 없다고 판단해 지구를 보호하고 살리기 위한 ... ...
[맛있는 수학] 솔로몬의 햄 샌드위치 정리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얼마 전 독자를 만난 피터팍은 “제가 아무리 대충 만들어도 그것보단 잘 만들 것 같아요”라는 말을 듣고 실의에 빠졌다. 모든 요리가 어렵게 보여 다음 아이템을 찾지 못하고 공원에 숨어있던 피터팍. 누군가 말을 거는 소리에 돌아본다. “무슨 일인지 모르겠지만 내 피크닉 요리를 나눠줄 테니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최근 많은 연구 결과들이 지구 최초의 생명체가 현재의 생명체와는 어느 정도 달랐을 것이라는, 즉 다른 염기쌍 시스템을 가졌을 것이라는 가설에 더욱 무게를 실어 준다. 그런데 이런 가설은 또 다른 질문을 낳는다. 과거의 염기쌍은 원시 지구에서 생명체가 생존하는 데 어떤 이점을 줬을까. 왜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