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님"(으)로 총 5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 사이보그, 그리고 안드로이드과학동아 l199607
- 처음 듣던 날, "생명현상은 물리, 화학적 법칙을 따른다" 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교수님은 이렇게 말문을 열었다. 그리곤 한시간 내내, DNA의 구조가 밝혀진 후 행해진 생명현상에 관한 많은 연구들을 소개해줬다. 또 이제는 생명현상이 매우 흥미롭고 놀라운 현상일 뿐, 더 이상 '신비' 라는 이름 ... ...
- 4. 좌담 창조적인 아이디어는 밤샘 토론에서 나온다과학동아 l199602
- 공부를 하고자 할 때 제공되는 무제한의 자유로움이 바로 그것이죠. 예로 들자면 교수님들이 학생의 의견을 많이 수렴합니다. 이상한 생각을 한다고 해서 그냥 무시해 버리는 것이 아니라 참신한 아이디어라고 보시는 것 같더군요. 처음 석사과정을 입학했을 때 KAIST의 분위기가 너무 공부에만 ...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과학동아 l199602
- 부적합해서는 절대 아니다. 실제로 KAIST에는 나보다 뛰어난 선후배 동기들이 많이 있고 교수님들 또한 아주 뛰어나다.내가 유학을 택한 것은 개인적으로는 더 크게 배워보고 싶은 점도 있었고(학업뿐만이 아닌) 다른 면으로는 KAIST를 알리고 싶었다. 아직 KAIST 학부는 생긴지 10년밖에 되지 않는다. ...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과학동아 l199602
- 정책적 지원과 안정적 예산 뒷받침이 있기에 가능했다. 파격적인 우대조치로 훌륭한 교수님들을 모실 수 있었고, 병역특례 등의 특별조치가 있었기에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고 교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의 길은 그렇게 순탄하지만은 않다. KAIST만을 위한 정부의 특별배려는 기대하기 힘들고 ... ...
- 학문과 제자 기르기에 삶의 보람을…과학동아 l199507
- 나가고 있었는데, 하루는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의 권녕대 교수님께서 부르시는 것이었다.교수님은 "이군, 자네가 대학원생 석사 논문을 지도해줘야겠네"라고 말씀하셨다. 이것이 인연이 돼 서울대학교에서 대학원생 6명의 석사 논문을 지도하게 됐고, 지난 77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으로 자리를 옮긴 ... ...
- 세계 최대 두루미의 낙원 이즈미과학동아 l199503
- 나타나 원교수를 찾았다. 그는 지나가다 버스에 붙은 표지판을 보고 왔노라며 "혹시 원교수님은 안오셨습니까? 그리고 여기에는 붉은머리흰죽지를 보시러 온게 아닙니까?"하고 물었다.모두들 원교수의 국제적 명성을 확인하며 탄성을 질렀다. 아키(安喜 勝次)라고 밝힌 일본인은 NHK를 통해 원교수를 ... ...
- "자연과 인간 함께 사는 방법을 배웠다"과학동아 l199503
- 첫날은 무척 당황했습니다. 새가 많은데, 어느 것이 무슨 새인지를 알 수 있어야지요. 원교수님께서 무슨 새라고 하시면 저는 조류도감을 찾아 보고 난 후 새를 보곤 했는데, 그때는 이미 날아가버린 뒤이곤 했습니다. 며칠동안 하니까 이제어느 정도 알 것 같은데…. 주최측에 부탁하고 싶습니다. ... ...
- 제주도 양치식물 탐사를 마치고과학동아 l199409
- 김영기-무엇보다 교수님의 학문에 대한 열정과 삶의 자세에서 배운 바가 큽니다. 교수님을 '한국의 린네박사'라 부르고 싶습니다. 공부가 아니라 공부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진정한 교육이지요. 그점에서 어떤 교육이 좋은 교육인가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가 됐습니다.현장교육에서 분류학은 중요도가 ...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과학동아 l199403
- 못하게 하는 게 되겠죠. 자연은 포괄적인 연관고리 하에서 전체를 고려해야 합니다. 아까 교수님께서도 말씀하셨지만 조류보호는 비관적이지 않다고 봅니다.환경과 개발은 합리적으로 조화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환경에 대한 저변이 확대되고 대중적 이해가 확산된다면 말이지요. 개발하면서도 ... ...
- 노랑부리백로와 모감주나무 발견이 최대 수확과학동아 l199309
- 좋습니다.박희송 : 이번에 식물의 경우 발견된 종수가 적지만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교수님과 다른 선생님의 학문탐구 자세에서도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원병오 : 좋은 학문태도를 보고 배우는 것도 의미있는 일입니다.한태영 : 탐사는 방학때만 할 것이 아니라 꼭 필요한 시기에 하는 것이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