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들에게 세상의 경계는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애를 태우기도 했다.스케치가 연출됐을 때의 기쁨제작자들은 각 촬영지의 상황을 최대한
활용
한 멋진 장면을 담기 위해 아이디어를 내고 그때그때 스케치로 남겼다. 예를 들어 뉴욕 맨해튼의 쌍둥이 빌딩을 가로지르며 비행하는 캐나다기러기를 스케치한 장면. 9.11 테러로 지금은 사라진 쌍둥이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앞서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2000년 1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국제가전전시회에 인터넷을
활용
할 수 있는 차세대 디지털 주방가전 제품을 출품했다. ‘텔레쉐프’로 이름붙인 이 전자레인지는 LCD로 인터넷을 검색해 원하는 조리정보와 최신 식품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검색기능 만을 가진 기존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아이디어가 나오기 때문이다. 바이오칩 연구 활발 정 교수팀은 최근 나노구조체를
활용
해 바이오칩을 만드는 연구에 뛰어들었다. 나노우물의 크기는 단백질 하나가 들어가기에 알맞은 크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에 특정 항원에 반응하는 항체 같은 단백질을 고정시킨 바이오칩을 만들면 현재 ... ...
어디서나, 누구나 컴퓨터를 입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인체매질통신, 3차원 입력장치 같은 차세대 PC기술이 미래의 일상생활에 어떻게
활용
될지를 좀더 친근하게 선보이기 위해 패션쇼라는 형식으로 기획했다.■ 옷에 부착된 컴퓨터에 전원은 어떻게 공급하나.패션쇼에서는 가로 세로 각각 10cm 정도 크기면 휴대전화를 걸 수 있는 의류용 태양전지를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적도상에 위치해 있다. 그 때문에 망원경의 시야 측정이나 극축을 맞출 때 가장 많이
활용
되는 별이기도 하다. 이 세 별은 동쪽에서 떠오를 때는 세로로 늘어서서 떠오르지만 서쪽으로 질 때는 옆으로 나란히 늘어서서 지게 된다.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그 모습이 매우 흥미롭다.이 세 별은 모두 ... ...
미적분으로 인격을 닦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얼마나 쓸모 있는 과정인지,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분야에서 수학이 얼마나 유용하게
활용
되는지 보여주고 싶었다고 한다.“과학을 다룬 글은 일단 소재가 눈길을 끌어야 독자들이 보더군요. 처음부터 수학용어가 나오면 읽지 않아요. 그래도 책에 나온 재미있는 소재들을 쓰다 보면 내가 수학을 ... ...
10년 뒤는 나노바이오기술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생체분자가 완벽한 조화를 연출하는 오케스트라인 생명체. 최근 과학자들은 나노기술을
활용
해 생체분자 작동의 비밀을 밝히고 있다. 이를 응용해 초고감도 바이오센서를 만들고 바이오나노소자를 개발하기 위해서다. 생명체가 영감을 주고 나노기술이 구현하는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가 21세기를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밝혔다. 최효택 실장은 “인체는 심리 변화에 따라 몸 상태도 함께 바뀌기 때문에 이를
활용
하면 어떤 종류의 탐지기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얼마든지 다양한 거짓말 탐지 기술이 나올 수 있다는 얘기다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필요했다. 그런데 만약 여기에 RNA 간섭 기술을 이용한다면 어떻게 될까. RNA 간섭 기술을
활용
하면 수개월내에 유전자 하나의 기능을 쉽게 규명할 수 있다. 이 점이 현재 수많은 연구자들이 RNA 간섭 기술에 걸고 있는 기대다. 안전한 siRNA 전달시스템 개발이 관건현재 세계적으로 RNA 간섭 기술 연구는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봉의 주인공2003년 문 박사에게 외국 과학자가 부러워했다는 우리나라 연구여건을 십분
활용
할 기회가 찾아왔다. 표면과학과 나노과학의 측정기술을 생명과학 분야에 적용하는 나노·바이오 융합 사업을 맡게 된 것. 한해 예산 규모가 40억, 총 연구자 수가 1백80명에 달하는 이 사업은 과학기술부 ... ...
이전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