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4. 신세대 백신 등장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바이러스로 알려진 SIV239를 주사한 결과 전혀 에이즈가 발병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많은
학자
들은 성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볼 때 획기적인 에이즈백신이 실용화될 날이 멀지 않았다고 전망했다. 도대체 DNA백신이 무엇이길래 이처럼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일까.DNA백신의 원리는 간단하다.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파생되는 경영 문제와 기업평가 등은 수
학자
의 손에서 이뤄진다.세계 경제의 흐름을 수
학자
들이 이끌어낸다고 말할 수 있다.이렇게 현대 수학은 과학은 물론 경제분야와 일상 생활 전반에 깊게 관여하고 있다.수학은 이공계로 갈 사람들만 공부하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이것은 큰 오해다.수학은 ... ...
긴급점검 사이버 교육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약 1천만배가 늘었다고 한다. 또한 앞으로 1세기동안 약 1천만배가 늘어난다고 미래
학자
들은 말하고 있다. 새로 생성되는 정보의 양만큼 사람들에게 짧은 시간동안 그 정보를 소화해내고 창조해낼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바쁜 현대인은 필요한 전문 지식을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 ...
몽골 공룡 골격대전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비교하며 즐길 수 있는 기회다.본행사에 앞서 1월 12일과 13일 양일간 몽골의 공룡
학자
바스볼드 박사(몽골과학아카데미 고생물센터 소장)가 내한해 공룡화석을 일일이 조립하는 과정을 공개적으로 선보였다. 큰 공룡을 조립하는데는 한나절 이상이 걸리지만 작은 공룡의 경우 2-3시간이면 충분하다 ... ...
전자상거래 시대 개척한 아마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어릴 적부터 벤처기업가가 될 자질과 능력을 키워왔다. 14살 때는 우주비행사나 물리
학자
처럼 최첨단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직업을 꿈꿨다. 그의 아버지는 엑손사 엔지니어였고 할아버지는 원자력에너지위원회에서 일했다. 아버지나 할아버지처럼 기술에 관심이 많았던 베조스에게 집의 차고는 ... ...
스페인에 떨어진 4Kg짜리 우박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박살냈다.각지에 떨어진 우박들을 모아서 분석하는 스페인 과
학자
팀을 이끌고 있는 지질
학자
마르티네즈 프리아스는 “이 일로 가장 놀란 사람은 접니다”하고 당시의 충격을 전했다. 지금까지 전문가들은 아무런 확실한 설명도 내놓지 못하고 있지만, 대략 세가지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하나는 ... ...
우주도 여성 차별하나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자연히 지상 망원경 분야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이 분야에 종사하는 남성
학자
가 수백명인데 비해 여성은 겨우 3명뿐이라는 사실은 천문학 분야뿐 아니라 전 과학분야에서 여성차별의 현주소를 말해주고 있다 ... ...
인류는 어디서 발생했는가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다른 호니미드를 대신할 수 있겠는가? 현실적으로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다. 실제로 일부
학자
들은 동유럽 지역에서 늦은시기 곧선사람과 가장 이른시기 슬기사람 사이에 유전자가 교환된 흔적이 있다고 주장한다.이동경로 추적하기 어려워설사 슬기사람과 곧선사람 간에 유전자교환이 일어났다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셈인지 그 후의 사람들로부터 무시되고 잊혀지고 말았다. 기원전 100년 경 그리스의 천문
학자
포시도니우스는 비슷한 방법으로 지구의 둘레가 2만8천8백km라는 결론을 얻었고, 실제보다 훨씬 작은 이 값을 오랫동안 사람들이 믿었다. 이로 인해 1600년이 지난 후 콜럼버스는 지구를 돌아 인도에 가기가 ... ...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지금도 하늘을 날고 있을뿐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나온 것이기 때문에 땅 위에서 빠르게 뛰다가 날아오르는 능력이 생겼을 것이다. 어떤
학자
는 시조새가 날다람쥐처럼 나무에 기어올라 중력의 도움으로 활강하는 능력을 발전시켜 날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시조새의 발가락은 현생 새처럼 나뭇가지를 잡을 수 있게 발달하지 않았다. 나무에 ... ...
이전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