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내놓는 곳이었다. “그래, 이제 4학년인데 진로는 어떻게 할 거니?”주현 양의 고민을
알
고 있던 미래전략연구그룹 그룹장인 한정훈 박사는 인사를 마치자 ‘멘토’답게 바로 본론으로 들어간다. “전공을 살려 대학원에 들어갈까 해요.”재료공학자가 되겠다는 대답에 한 박사의 얼굴에 흐뭇한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위해 항체가 만들어진다. 혈청면역검사는 이들을 검출해 바이러스가 있는지 사실을
알
아낸다.서장수 교수는 “지금까지 혈액 검사는 주로 혈액의 생화학적 특성에만 치중했다”며 “적혈구의 점도나 변형능, 응집성도 질환을 나타내는 지표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으므로 검진에 이용될 필요가 ... ...
당뇨병과 간질병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의학적으로는 아쉬운 옥의 티다. 영화 ‘대부’ 3편에는 당뇨병을 앓는 꼴레오네(
알
파치노 분)가 로마의 바티칸 성당에서 고해성사를 하던 도중 기운을 잃고 쓰러진 뒤 오렌지주스를 마시고서야 의식을 회복하는 장면이 나온다. 실제로 저혈당 상태가 되면 꼴레오네처럼 기운이 빠져 팔을 들기도 ... ...
일본어 몰라도 스털링 엔진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위한 자재로도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 일본어를 모르더라도 그림을 통해 과학 원리를
알
수 있고, 어느 정도 원리를 파악하면 직접 제품을 만들 수 있어 누구나 즐길 수 있다는 설명. 홍 팀장은 “조립 설명서와 과학 원리를 한글로 번역하는 작업도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에서도 ... ...
당뇨가 기억력 떨어뜨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조사한 결과 시상하부에 자극을 받아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분비량이 늘어나는 사실을
알
아냈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은 다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의 분비량을 늘렸고 뇌에서 학습과 단기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의 기능을 방해했다.당뇨에 걸린 쥐는 코티솔의 분비량이 늘어나며 새로운 ... ...
알
고 보니 '젊은' 서부 그랜드 캐니언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그래서 남아 있는 방사성 원소와 새로 생긴 원소의 비율로 시간이 얼마나 지났는지
알
수 있다.연구팀은 서부 그랜드캐니언 현무암층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나이와 생성 과정도 상세히 밝혔다. 이 지역은 72만 5000년 전에서 7만 5000년 전 사이에 4회에 걸쳐 뜨거운 현무암 용암질이 분출했으며,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그 주변의 어느 나무 틈에는 말라서 쪼그라진 암컷의 시신이 있다. 날이 따뜻해지면
알
을 깬 애벌레들이 그 자리를 채운다. 생명체가 살 수 없을 것 같은 삭막한 겨울 숲에서 다음 세레나데를 위해 겨울자나방은 또 나뭇잎을 갉아 먹는다.겨울자나방은 왜 결혼 시즌을 겨울로 택했을까? 생존은 곧 ... ...
소프트웨어, 데이터백업 사라지는 클라우드 컴퓨팅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연결돼 있다면, 사용자는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떻게 서버에 도착하는지
알
수 없고
알
필요도 없지만 ‘구름’을 통해 원하는 결과물을 얻는다.클라우드 컴퓨팅은 시대가 요구하는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생겨났다. 컴퓨터 하드웨어의 가격은 나날이 하락하고 성능은 향상되는데 비해 운영체제와 응용 ... ...
PART2 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수 있다. 바람의 세기를 조절해 플라스틱을 구별하는 풍력선별법과 물이나 소금물,
알
코올에 플라스틱 조각을 띄워 분리하는 습식선별법이 있다. 최근 독일의 TLT재활용회사는 비중 차이가 0.2 정도밖에 나지 않는 PP와 PE를 분리할 수 있는 용액을 제조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1. 서로 다른 플라스틱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현재 시판 중인 약 가운데 50%가 막단백질에 작용한다”며 “막단백질의 입체구조를
알
면 부작용을 제거한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막단백질은 물에 잘 녹지 않아 생산하기 힘들고 비누성분으로 녹이면 일반 단백질보다 크기도 커진다. 단백질이 커질수록 신호가 복잡해지고 ... ...
이전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