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초파리는 경쟁자 앞에서 더 뜨거운 사랑을?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채 교미를 못하게 했더니 수명이 줄었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11월 29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초파리 유전자를 조작해 몸은 수컷이지만 페로몬과 냄새는 암컷과 같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이들을 정상 수컷과 함께 지내도록 했다. 정상 수컷들은 암컷 페로몬을 감지하고 교미를 시도했으나 ... ...
그 많던 공룡 배설물은 누가 다 치웠나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보이는 나무 입자를 발견했다고 미국공공도서관 학술지 ‘플로스원’ 12월 4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첨단 촬영 기법을 이용해 호박 속에 보존돼 있던 바퀴벌레 화석을 3D 가상 영상으로 재현했다. 화석 안에는 바퀴벌레의 배설물도 함께 갇혀 있었는데, 연구팀은 그 안에서 나무 입자를 발견했다. ... ...
네이처가 선정한 2013년 10대 인물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네이처는 2013년 과학계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10명의 인물을 선정해 12월 19일
발표
했다. 네이처는 특히 각 인물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별명을 하나씩 선사해 눈길을 끌었다. 이번에 뽑힌 10명 중에서 5명이 생물분야 관련자며, 아시아계는 2명이다. ...
사이언스가 선정한 2013년 10대 연구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올해 최고의 과학뉴스로 꼽혔다.사이언스는 2013년 10대 과학뉴스를 선정해 12월 20일
발표
했다. 1위는 암 면역치료법으로 체내 면역세포를 조절해, 암 세포를 인식하고 공격할 수 있는 기법이다. 보통 암 세포는 면역세포의 눈을 피하기 위해 특별한 단백질을 분비한다. 연구자들은 특정 약물로 ... ...
생물처럼 말랑말랑한 ‘소프트 로봇’ 나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생물이 움직이는 원리와 특징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고체 물리학 및 역학 저널’ 1월호에
발표
했다. 단세포 생물의 움직임을 응용해 인체에서 활동하는 말랑말랑한 마이크로 로봇을 만드는 ‘생체 모방’ 연구다.연구팀은 수 년간 유글레나가 움직이는 것을 관찰했다. 물에서 사는 단세포 생물인 ... ...
2014년 놓치지 말아야할 우주쇼는?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9월에는 토성엄폐, 10월에는 개기월식이 일어난다고
발표
했다. 토성엄폐는 토성이 달 뒤로 숨는 현상. 토성과 달이 일직선에 놓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9월 28일 정오에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지며, 약 한 시간 뒤인 오후 1시 07분 다시 나온다. 천체망원경을 이용하면 관측 가능하다. 10월 8일에는 ... ...
일본 로봇, 허세 떤 미국 로봇을 꺾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행사를 진행한다. 2014년 말 열리는 최종 결선 진출이 확보되는 팀은 모두 8개로, 22일 이후
발표
할 계획이다. 트랙D로 KAIST팀이 추가로 출전할 것을 감안하면 2014년말에는 모두 3개의 한국팀이 200만 달러의 최종 우승 상금에 도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오준호 KAIST 교수(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는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및 로베르 브라우가 거의 같은 시기에 제시했고, 직후에 세 명의 미국인도 비슷한 결과를
발표
했다. 힉스 메커니즘이 현실적인 모형과 결합해 표준모형을 구축하게 된 것은 주로 스티븐 와인버그 덕분이었다(1967년). 그러나 이후 거의 반세기가 지나도록 힉스 입자는 실험으로 관측되지 않았다. 결국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반복투여해서 각성기 1일 포함 총 5일 동안 겨울잠을 자게 하는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발표
된 연구 중 가장 오랜 기간이다. 실험을 마친 후에 후유증도 없었다. 현재는 동면기간을 더 연장하는 방안과 좀더 큰 포유동물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또 겨울잠을 자는 동물에게 있을 것으로 보이는 ... ...
‘우주 최초의 빛’이 틀렸다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유럽우주국(ESA)의 최신예 우주마이크로파배경복사(우주배경복사) 탐사선 ‘플랑크’의 첫 번째 연구 결과가 2013년 봄
발표
됐다. 우주배경복사는 우주 탄생과 진화의 비밀을 담고 ... 이 연구 결과는 12월 10일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열린 상대론적 천체물리학 학술대회에서
발표
됐다 ... ...
이전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