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마르코니의 무선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알지 못했다. 그런데 20년 뒤 무선수신기의 안정된 검파장치를 연구하던 영국의 전기
공학
자 플래밍(1849-1945)이 에디슨효과의 중요성을 간파해냈다. 그는 1904년 최초로 2극진공관을 발명했다. 그리고 2년 뒤 미국의 포레스트(1873-1961)가 3극 진공관을 발명했다. 무선전신은 1950년대 말 트랜지스터가 ... ...
물리학의 한계에 도전하는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구성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그런데 이보다 작게 단위소자를 구성할 수는 없을까.반도체
공학
자들의 꿈은 원자 수준의 반도체 회로를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목표는 물리학의 한계 때문에 쉽지 않다. 현재의 반도체 재료로 10nm 이하의 단위소자를 만들어 반도체 회로를 구성하면 전자들이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반영시키는게 목적이다.합의회의는 1987년 덴마크에서 '농업과 산업에서의 유전
공학
의 적용'을 주제로 시작됏으며, 현재 많은 유럽의 나라들이 매년 1-2회의 합의회의를 개최한다. 최근에는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서도 열리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올해 처음으로 '유전자 치료'에 대한 ... ...
젓갈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별로 맛도 없어 보이는 젓갈을 김치에 넣지 않으면 뭔가 부족한 듯하다. 그이유는 바로 젓갈 속에 김치의 숙성을 도와주고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과 핵산이 풍부하기 때문. 해안생활과 어우러진 토기문화로 탄생한 우리 고유의 젓갈에 대해 이모저모를 살펴본다.세계 어느 나라를 다녀봐도 우리나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흥미가 떨어진다는 사실이다. 이에 대해 대구 과학고를 졸업한 박 종흠(서울대 컴퓨터
공학
과)군은 "대학 수업이 새로운 것을 알게되고 도전적인 문제를 해결 하는 기회를 주지 않아 전공에 대한 흥미가 생각했던 것보다 반감됐다"며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의 과목을 수강하고 싶은데 그러한 ... ...
1. 한국인은 노벨상에 도전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of Science'즉 '한국과학진흥협의회'다. 노벨상 분위기를 풍기는 단어는 하나도 없다.
공학
이나 기술이 아닌 기초과학을 진흥시키겠다는 게 본래의 설립취지다.꼬마 후보자 수준그렇다면 왜 '노벨과학상'이란 용어를 사용했을까. 전무식 본부장은 "골프광이 아니면서 골프의 경기규칙을 훤히 알고 있고, ... ...
수은화합물 흡수하는 나무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있다. 그러나 독성 물질에 약하다는 점이 발견됐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팀은 유전
공학
을 이용해 이 나무가 독성 물질을 분해하는 세균의 유전자를 갖도록 만들었다.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지만 실용화를 위해서는 넘어야 할 어려움들이 많다. 첫번째는 독성 물질의 ... ...
입자물리의 영원한 라이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CERN이 엄청난 저력을 발휘하는 것은 세계 각국의 대학과 산업체에서 전자
공학
, 기계
공학
등 최첨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CERN이 자랑하는 가속기와 검출기는 이러한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서 얻어졌다. 오늘날 인터넷의 대명사가 된 월드와이드웹(WWW)도 협력체제의 부산물이다.사람들은 ... ...
과학자로 다시 돌아온 우주영웅 글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암세포를 새로운 세포로 대체하는 일 등은 의학계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글렌은 유전
공학
을 이용해 수혈할 헤모글로빈 제품을 개발하고, 다른 조직에 이식했을 때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단백질을 생산하고, 인조뼈를 이식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 등을 모니터하는 일을 담당한다.질병과 이를 ... ...
지구 최초 육지 식물은 우산이끼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어려워) 그 사실을 입증할 수 없었다. 그런데 인디애나 대학의 제프리 팰머 교수팀이 유전
공학
을 이용해 오늘날의 우산이끼가 4억7천만년 전 바다에서 육지로 올라와 번성하기 시작했다는 강력한 증거를 발견해낸 것이다.팰머 교수팀은 3백52종의 현대식물의 DNA를 조사한 결과 공동적으로 3가지 고대 ... ...
이전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