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9,776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10
카탈로그를 뒤지고 소더비를 비롯한 유명 경매회사의 경매 행사에 참여했다. 그러다 한
가지
배운 것은 내가 교수로서 연구하기 위해 지도를 산다고 하면 한푼도 깎아주지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그런데 내가 한국에서 지도를 사고 파는 상인이라고 말하면 10%를 할인해 주는 것을 알았다. 나는 ... ...
서울대 화학부 백명현
과학동아
l
200410
나노 물질은 초분자의 성질과 나노입자의 성질을 모두
가지
고 있으면서 새로운 성질을
가지
고 있는 물질이다.이 결과가 물질세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는 아직 아무도 모른다. 확실한 것은 지금까지 어느 누구도 만들지 못한 신물질이 나올 가능성은 크다.항상 새로운 것에 도전하며 자기 계발을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10
불어들어왔다.연구팀은 루사 상륙 전 태백산맥에 부는 바람을 남동풍과 북동풍의 2
가지
로 설정해 모의실험으로 비교해봤다. 그 결과 남동풍일 때보다 북동풍일 경우 2배 가까이 더 강한 상승기류가 생겨 지형성 구름이 발달했고 더 많은 비가 내렸다. 비의 양과 비가 내린 지역도 실제 관측과 아주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10
큰 소리로 부저를 울릴 수 있을 만한 전력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우리가 늘
가지
고 다니는 휴대전화나 소형 컴퓨터 정도는 충분히 자가발전으로 에너지를 충당할 수 있지 않을까?전선 없는 세상의 자유로움에너지를 절약하는 면에 있어서도 전선이 사라지는 것은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선이 ... ...
참말하는 기사와 거짓말하는 건달의 논리 대결
과학동아
l
200410
문제에서는 부부의 대답으로 이 4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고 했다. 따라서 부부의 대답 4
가지
와 4부류의 관계가 1:1이어야 한다. 또 문제에는 한사람의 대답만으로 본인은 물론 배우자의 정체를 알 수 없다고 했다. 따라서 2조건에 부합하는 대답이 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표를 만들어보자.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10
제가 만들려고 하는 것도 사람의 친구가 되는 로봇입니다. 우리와 비슷하게 생겨야 정이
가지
않겠습니까. 영화처럼 휴머노이드가 사람을 해치는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을 테니 안심하세요.”1973년 첫 휴머노이드 일본서 등장 인간형 로봇의 역사는 인간의 역사와 맞물려 있다. 세계의 온갖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10
이렇게 말하는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한 박사는 미래에너지가 갖춰야 할 조건으로 2
가지
를 들면서 핵융합이 이 조건에 맞다고 말한다. 그 조건은 미래 에너지 소비량을 충족시킬 만큼 생산능력이 높아야 하고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21세기말 세계 인구는 80억-1백20억명으로 늘 ... ...
에어버스 보잉 차세대 여객기 격돌
과학동아
l
200410
85dB까지 낮췄기 때문이다.하지만 B7E7의 핵심 전술은 다른 데 있다. B7E7 기체 자체를 2
가지
모델로 출시하는 것. 이를 통해 항공사와 승객을 한꺼번에 공략할 준비를 하고 있다. 기본 모델인 B7E7은 전체 길이 59m로 승객 2백17명을 태우고 1만5천7백km를 비행하는 장거리용이다. 여기에 단거리 노선용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10
수수께끼를 풀었을까.고속도로 차량흐름 3
가지
유형물리학자들은 교통흐름의 패턴을 3
가지
로 구분했다.평일 한낮의 고속도로를 떠올려보자. 차들이 서로 질세라 전력질주 한다. 차량 사이 간격도 꽤 넓다. 이처럼 차들이 도로에서 허용하는 최대 속도까지 낼 수 있는 상태를 ‘자유흐름’이라고 ... ...
과학과 인문학의 경계에서 새로운 세상을 본다
과학동아
l
200410
하다. 미래사회가 유토피아가 될 것인가, 디스토피아가 될 것인가라는 논쟁 대신 두
가지
가능성 모두를 인정하고, 네트워크 혁명의 ‘열린’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닫힌’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게 그의 생각이다.갈등하는 서로 다른 세계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홍 ... ...
이전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다음
공지사항